PromleeBlog
sitemap
aboutMe

posting thumbnail
블로그 제작 목표
Goals making Blog

📅

🚀

들어가기 전에 🔗

맨땅에 헤딩하는 입장에서 처음에는 무엇을 해야 할지 감이 오지 않았다.
그래서 블로그를 제작하기에 앞서 적당한 목표를 세우기로 했다.
목표는 두 분류로 나누었다.
  1. 블로그
    자체의 기능
    을 하는 것에서의 목표
  2. 개발 결과물
    로서의 목표

🚀

블로그 자체의 기능을 하는 것에서의 목표 🔗

가독성 🔗

가독성은 블로그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라고 생각한다.
가독성이 좋다는 기준은 명확하지 않지만 나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세웠다.
  1. 본문과 제목의 구분이 명확해야 한다.
  2. 글씨 크기와 색상이 읽기 편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3. 글머리 기호, 번호나 표 등이 적절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4. 강조되는 키워드는
    확실한 방법
    으로 강조되어야 한다.
  5. 이미지가 화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 않아야 한다.
  6. 모든 기기에서 동일한 가독성을 보장해야 한다.
제1 독자는 나 자신이기에 내가 가장 편하게 읽을 방법을 강구하였다.

글 분류 🔗

내가 따로 블로그를 제작해야겠다고 결심한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
내가 쓰는 글은 다양한 주제로 이루어져 있기에 분류가 필요하다.
분류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카테고리
	- 주제
		- 시리즈
			- 글
분류를 정하기 애매한 글들도 있지만 일단은 이 기준으로 분류하기로 했다.
글들을 트리 형식으로 분류하며 포스팅의 구조를 만들었다.
사이트맵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개발 결과물로서의 목표 🔗

플랫폼과 콘텐츠의 분리 🔗

처음에는 깃허브 프로젝트 안에 포스팅도 같이 저장하는 방식으로 블로그를 제작하려고 했다.
하지만 확장성, 복잡성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서 포스팅과 블로그의 플랫폼을 분리하기로 했다.
또한 프로젝트 내부에 이미지나 포트팅을 저장한다면 의미 없는 커밋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어서 이미지와 포스팅을 분리하기로 했다.
관계형 DB에 포스팅 정보를 저장하고 아마존의 S3에 이미지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예정이다.
추후 검색 기능 등을 추가하는 것에도 용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좋은 사용자 경험 🔗

실제로 포털 검색을 통해 사용자를 유입시키는 사이트이다.
이 사용자들이 블로그에 머무르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경험이 중요하다.
사용자 경험은 포괄적인 개념이기에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기로 했다.
  1. 빠른 로딩 속도
    다양한 모든 최적화 방법을 사용해 볼 예정이다.
    Next.js의 SSR, CSR, ISR 기술 등을 잘 조합하고, 이미지 최적화, data fetching 시간 분석 등을 통해 빠른 로딩 속도를 보장할 것이다.
  2. 반응형 디자인
    3가지 기기(모바일, 태블릿, 데스크톱)에 대해 반응형 디자인을 적용할 것이다.
    각 기기에 맞게 최적화된 레이아웃, 글씨 크기 등을 적용할 예정이다.
  3. 직관적인 UI
    너무 복잡하지 않은 범위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가진 UI를 적절히 배치할 것이다.

SEO 최적화 🔗

아무리 스스로 기록하는 의의가 있는 블로그일지라도 다른 사람이 볼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포스팅해야 성의가 있게 되지 않을까?
그래서 SEO 최적화를 통해 검색 엔진에 쉽게 노출할 것이다.
추후 다른 시리즈로 SEO 최적화에 대한 포스팅도 작성할 예정이다.
👍
현재(2024년 6월 23일) 기준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한 지 2주가 조금 안되었는데
하루에 평균적으로 15회 정도 나의 블로그(포스팅)가 구글 검색에 노출이 되고 있다.
👍
추가 - 약 8개월이 지난 현재(2025년 2월 26일) 하루에 평균적으로 300회 정도 블로그(포스팅)가 구글 검색에 노출이 되고 있다. CTR(Click Through Rate)은 약 3.5% 정도.
2025년 2월 26일
2025년 2월 26일

🚀

결론 🔗

물론 계획한 대로 모든 것이 진행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목표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차이가 있다.
목표가 있다면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방향이 생긴다.
개발 속도도 빨라질 것이고, 뒤늦게 수정해야 할 부분도 줄어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