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leeBlog
sitemap
aboutMe
Menu
Welcome to
✨ Promlee Blog ✨
View 📈
Total: -
Today: -
추천 포스트
개인학습
기타
노베이스 3일 만에 한자 4급 합격하기
최빈출 기본 한자 (자연, 기초 동사/형용사 등) 상세 학습 - 노베이스 3일 만에 한자 4급 합격하기 3단계
최빈출 기본 한자 (자연, 기초 동사/형용사 등) 상세 학습 - 노베이스 3일 만에 한자 4급 합격하기 3단계
Mastering Essential Hanja (Nature, Basic Verbs/Adjectives) - Passing Hanja Level 4 in 3 Days Step 3
📅
🚀
들어가기 전에
🔗
지난 1단계에서는 한자 학습의 기초가 되는 핵심 부수와 가장 기본적인 한자들을, 2단계에서는 학교/학습 및 행동/상태 관련 빈출 한자들을 익히며 총 85자의 한자와 친숙해지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3단계에서는 1일차 학습 목표의 마무리를 위해, 우리 주변의
자연 현상
과 관련된 한자, 그리고 기본적인
동사 및 형용사
에 해당하는 한자들을 중심으로 약 40~50자를 추가로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 단계까지 마치면 1일차 학습 목표인 약 120~130자 정도의 핵심 한자들을 익히게 됩니다.
🚀
3단계 학습 한자 (목표: 40자)
🔗
이번 단계에서는 자연 현상, 기초적인 움직임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들을 중심으로 학습합니다.
역시 각 한자의
모양, 뜻, 음, 부수, 활용 단어, 그리고 연상 암기 팁
을 중심으로 기억해주세요.
[자연 현상 및 요소 - 심화]
天 (하늘 천)
뜻: 하늘, 하느님, 운명
부수: 大 (큰 대)
활용 단어: 天地(천지), 天使(천사), 天才(천재), 天氣(천기 - 날씨)
사람(大) 머리 위에 있는 광대한 '하늘(一)'.
地 (땅 지)
뜻: 땅, 토지, 지위
부수: 土 (흙 토)
활용 단어: 天地(천지), 地圖(지도), 土地(토지), 地下(지하)
흙(土)과 땅을 기어 다니는 뱀(也의 변형)의 모습에서 '땅'.
日 (날 일)
(1단계 핵심 부수 및 한자 복습)
뜻: 해, 날, 낮, 일본
부수: 日 (제부수)
활용 단어: 日月(일월), 今日(금일), 生年月日(생년월일), 日本(일본)
둥근 해 모양에 점 하나.
月 (달 월)
(1단계 한자 복습)
뜻: 달, 세월, 한 달
부수: 月 (제부수)
활용 단어: 日月(일월), 歲月(세월), 月曜日(월요일), 正月(정월)
초승달 모양. 肉(고기 육)의 변형으로 쓰일 때도 주의!
星 (별 성)
뜻: 별, 세월, 점
부수: 日 (날 일)
활용 단어: 星座(성좌 - 별자리), 惑星(혹성), 衛星(위성), 新星(신성)
해(日)처럼 빛나며 살아있는(生) 것이 '별'.
風 (바람 풍)
(2단계 복습)
뜻: 바람, 풍속, 모습
부수: 風 (제부수)
활용 단어: 風景(풍경), 强風(강풍), 風俗(풍속), 風聞(풍문)
무릇 범(凡) 안에 벌레 충(虫)이 있어, 바람에 벌레가 날리거나 바람이 모든 것을 휩쓰는 모습.
雨 (비 우)
(2단계 복습)
뜻: 비, 비가 오다
부수: 雨 (제부수)
활용 단어: 雨期(우기), 降雨量(강우량), 梅雨(매우 - 장마)
하늘(一) 아래 구름(冂)에서 빗방울(점 네 개)이 떨어지는 모양.
雪 (눈 설)
(2단계 복습)
뜻: 눈, 깨끗하다, 씻다
부수: 雨 (비 우)
활용 단어: 大雪(대설), 雪景(설경), 除雪(제설), 雪辱(설욕)
비(雨)와 손(彐) 모양이 합쳐져, 손으로 쓸어낼 수 있는 '눈'.
雲 (구름 운)
(2단계 복습)
뜻: 구름, 높다
부수: 雨 (비 우)
활용 단어: 暗雲(암운), 風雲兒(풍운아), 雲集(운집)
비(雨)를 머금고 이를 운(云 - 말하다, 이르다) 모양으로 뭉쳐있는 '구름'.
電 (번개 전)
뜻: 번개, 전기
부수: 雨 (비 우)
활용 단어: 電話(전화), 電氣(전기), 電子(전자), 感電(감전)
비(雨)가 올 때 펼쳐지는(申 - 펼 신) 것이 '번개', 나아가 '전기'.
[기초 동사 관련]
有 (있을 유)
뜻: 있다, 가지다, 존재하다
부수: 月 (고기 육 = 肉)
활용 단어: 有名(유명), 所有(소유), 有無(유무), 有利(유리)
손(ナ 모양)으로 고기(月=肉)를 가지고 '있다'.
반의자
: 無 (없을 무)
無 (없을 무)
뜻: 없다, 아니다, ~하지 마라
부수: 灬 (불 화 발)
활용 단어: 無名(무명), 無視(무시), 有口無言(유구무언), 無禮(무례)
숲(林의 변형)이 불(灬)에 타서 '아무것도 없는' 모습.
유의자
: 非 (아닐 비)
반의자
: 有 (있을 유)
在 (있을 재)
뜻: 있다, 존재하다, 살다
부수: 土 (흙 토)
활용 단어: 現在(현재), 存在(존재), 在庫(재고), 在宅(재택)
재주(才)가 있어 흙(土) 위에 '있다', '존재하다'.
生 (날 생)
(1, 2단계 복습)
뜻: 나다, 살다, 삶, 학생
부수: 生 (제부수)
활용 단어: 生命(생명), 學生(학생), 人生(인생), 發生(발생)
풀(䒑)이 땅(一) 위로 돋아나는 모습.
死 (죽을 사)
뜻: 죽다, 죽음
부수: 歹 (죽을사변 = 뼈앙상할 알)
활용 단어: 死亡(사망), 生死(생사), 死活(사활), 九死一生(구사일생)
뼈(歹)와 사람(匕 - 비수 비, 사람의 변형)이 합쳐져 '죽음'을 의미.
반의자
: 生 (날 생)
來 (올 래/내)
뜻: 오다, 미래 / 위로할 내
부수: 人 (사람 인)
활용 단어: 來日(내일), 未來(미래), 由來(유래), 往來(왕래)
보리(麥의 옛글자)가 익어 사람들이 '오는' 모습. 또는 나무(木) 아래 사람(人人)이 오는 모습.
반의자
: 去 (갈 거 - 다음 한자)
去 (갈 거)
뜻: 가다, 떠나다, 과거
부수: 土 (흙 토)
활용 단어: 過去(과거), 去來(거래), 除去(제거), 退去(퇴거)
흙(土)으로 된 집을 버리고 사사로이(厶) 떠나 '가다'.
반의자
: 來 (올 래)
見 (볼 견/뵐 현)
(1, 2단계 복습)
뜻: 보다, 만나다(현), 의견
부수: 見 (제부수)
활용 단어: 見學(견학), 意見(의견), 發見(발견), 謁見(알현)
눈(目) 위에 사람(儿)이 있어, 사람이 눈으로 '보는' 모습.
食 (밥 식/먹을 식/기를 사)
(1, 2단계 복습)
뜻: 밥, 음식, 먹다, (사람을) 기르다(사)
부수: 食 (제부수)
활용 단어: 食事(식사), 食品(식품), 間食(간식), 食客(식객)
밥그릇(亼) 위에 뚜껑(良의 변형)이 덮인 모양.
飮 (마실 음)
뜻: 마시다
부수: 食 (밥 식)
활용 단어: 飮料水(음료수), 飮食(음식), 暴飮(폭음)
음식(食)을 입(欠 - 하품 흠, 입 벌린 모양)으로 '마시다'.
行 (다닐 행/항렬 항)
(1, 2단계 복습)
뜻: 다니다, 행하다, 실행하다, 줄(항렬)
부수: 行 (제부수)
활용 단어: 旅行(여행), 行動(행동), 銀行(은행), 行列(행렬)
사거리 모양. 사람들이 다니는 '길'.
止 (그칠 지)
뜻: 그치다, 멈추다, 발
부수: 止 (제부수)
활용 단어: 中止(중지), 禁止(금지), 停止(정지), 止汗劑(지한제)
사람의 발 모양. 발이 멈추어 '그치다'.
住 (살 주)
뜻: 살다, 거주하다, 머무르다
부수: 亻 (사람 인 변)
활용 단어: 住居(주거), 住所(주소), 衣食住(의식주), 居住(거주)
사람(亻)이 주인(主)으로서 '머무르며 사는' 곳.
坐 (앉을 좌)
(2단계 복습)
뜻: 앉다, 자리, 연루되다
부수: 土 (흙 토)
활용 단어: 坐席(좌석), 正坐(정좌), 連坐制(연좌제), 座右銘(좌우명)
두 사람(人人)이 흙(土) 위에 마주 보고 '앉아 있는' 모습.
立 (설 립/입)
(1, 2단계 복습)
뜻: 서다, 세우다, 즉시, 입장
부수: 立 (제부수)
활용 단어: 獨立(독립), 建立(건립), 立場(입장), 設立(설립)
사람(大)이 땅(一) 위에 '서 있는' 모습.
[기초 형용사 및 상태 관련]
大 (큰 대)
(1단계 복습)
뜻: 크다, 위대하다
부수: 大 (제부수)
활용 단어: 大門(대문), 大學(대학), 大韓民國(대한민국)
사람이 팔다리를 활짝 벌리고 서 있는 큰 모습.
小 (작을 소)
(1단계 복습)
뜻: 작다, 적다
부수: 小 (제부수)
활용 단어: 小人(소인), 小學校(소학교), 大同小異(대동소이)
작은 점 세 개가 모여 있는 모습.
多 (많을 다)
뜻: 많다, 낫다
부수: 夕 (저녁 석)
활용 단어: 多數(다수), 多情多感(다정다감), 多才多能(다재다능), 多幸(다행)
저녁(夕)이 여러 번 겹친 모양으로, 날이 많이 지나 '많다'.
반의자
: 少 (적을 소)
少 (적을 소/젊을 소)
(1단계 복습 겸 의미 확장)
뜻: 적다, 젊다(소)
부수: 小 (작을 소)
활용 단어: 多少(다소), 少年(소년), 少女(소녀), 少量(소량)
작은(小) 것이 조금(丿) '적다'. 또는 '젊다'.
반의자
: 多 (많을 다)
高 (높을 고)
뜻: 높다, 뛰어나다, 비싸다
부수: 高 (제부수)
활용 단어: 高低(고저), 高等學校(고등학교), 最高(최고), 高價(고가)
높은 망루 또는 성곽의 모양.
반의자
: 低 (낮을 저 - 다음 한자)
低 (낮을 저)
뜻: 낮다, 숙이다
부수: 亻 (사람 인 변)
활용 단어: 高低(고저), 低音(저음), 低下(저하), 最低(최저)
사람(亻)이 밑(氐 - 근본 저, 밑 저)으로 고개를 숙여 '낮다'.
반의자
: 高 (높을 고)
長 (길 장/어른 장)
뜻: 길다, 자라다 / 어른, 우두머리
부수: 長 (제부수)
활용 단어: 長短(장단), 成長(성장), 長點(장점) / 校長(교장), 長男(장남), 部長(부장)
머리카락(毛의 변형)이 긴 노인의 모습. 그래서 '길다', '어른'.
반의자
: 短 (짧을 단 - 다음 한자)
短 (짧을 단)
뜻: 짧다, 모자라다, 허물
부수: 矢 (화살 시)
활용 단어: 長短(장단), 短點(단점), 短縮(단축), 短期間(단기간)
화살(矢)은 짧고, 콩(豆)도 작아 '짧다'.
반의자
: 長 (길 장)
新 (새 신)
뜻: 새롭다, 처음, 새롭게 하다
부수: 斤 (도끼 근)
활용 단어: 新聞(신문), 新年(신년), 新入生(신입생), 革新(혁신)
나무(木의 변형 立+木)를 도끼(斤)로 다듬어 '새롭게' 만들다.
古 (옛 고)
뜻: 옛날, 오래되다
부수: 口 (입 구)
활용 단어: 古代(고대), 中古(중고), 古典(고전), 考古學(고고학)
열(十) 번의 입(口)을 거쳐 전해 내려오는 '오래된' 이야기.
반의자
: 新 (새 신), 今 (이제 금)
同 (한가지 동)
뜻: 한가지, 같다, 함께하다
부수: 口 (입 구)
활용 단어: 同時(동시), 同感(동감), 大同小異(대동소이), 同業(동업)
여러 사람(凡의 변형)이 한(一) 입(口)으로 똑같이 말하는 모습.
반의자
: 異 (다를 이 - 다음 한자)
異 (다를 이)
뜻: 다르다, 이상하다, 뛰어나다
부수: 田 (밭 전)
활용 단어: 差異(차이), 特異(특이), 異性(이성), 奇異(기이)
밭(田)에서 두 손(廾)으로 기이한 것을 발견하여 '다르다'.
반의자
: 同 (한가지 동)
安 (편안 안)
(2단계 복습)
뜻: 편안하다, 안전하다, 값싸다
부수: 宀 (갓머리)
활용 단어: 安全(안전), 安心(안심), 不安(불안), 安定(안정)
집(宀) 안에 여자(女)가 있어 '편안하다'.
樂 (즐거울 락/노래 악/좋아할 요)
뜻: 즐겁다(락), 음악(악), 좋아하다(요)
부수: 木 (나무 목)
활용 단어: 快樂(쾌락), 娛樂(오락) / 音樂(음악), 樂器(악기) / 仁者樂山(인자요산)
나무(木)로 만든 악기 위에 실(幺)들이 있고, 그것을 치면 흰(白) 가루가 날리며 '즐거운' 소리가 남. (매우 복잡한 형성 과정)
苦 (쓸 고)
뜻: 쓰다, 괴롭다, 애쓰다
부수: 艹 (풀 초)
활용 단어: 苦痛(고통), 苦生(고생), 苦盡甘來(고진감래), 辛苦(신고)
풀(艹)이 오래되면(古) 맛이 '쓰다'.
반의자
: 甘 (달 감 - 4급 범위 확인 필요, 樂과도 대비 가능)
🚀
1일차 학습 마무리
🔗
오늘까지 총 3단계에 걸쳐 약 125자의 핵심 한자들을 익혔습니다.
1일차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내일부터 시작될 2일차 학습에서는 오늘까지 배운 한자들을 바탕으로 더 많은 빈출 한자를 익히고, 본격적으로 시험 유형에 대비하는 연습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
참고
🔗
본인이 응시하는 시험 주관처의 4급 배정한자표를 보면서 오늘까지 배운 한자들이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는지, 앞으로 어떤 한자들을 더 익혀야 할지 가늠해보세요.
온라인 한자사전이나 한자 학습 앱을 통해 오늘 배운 한자들의 다양한 활용 예시를 더 찾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 들어가기 전에
🚀 3단계 학습 한자
🚀 1일차 학습 마무리
✅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