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leeBlog
sitemapaboutMe

posting thumbnail
빈출 한자 확장 (학교/학습, 사회/관계 등) 상세 학습 - 노베이스 3일 만에 한자 4급 합격하기 4단계
Expanding Essential Hanja (School/Learning, Society/Relations) - Passing Hanja Level 4 in 3 Days Step 4

📅

🚀

들어가기 전에🔗

지난 1일차 동안 우리는 총 3단계에 걸쳐 약 125자의 핵심 기초 한자들을 익혔습니다.
오늘부터 시작되는 2일차 학습에서는 지금까지 배운 한자들을 발판 삼아,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다양한 주제의 한자들로 지식의 폭을 넓혀갈 예정입니다.
이번 4단계에서는 특히 우리 생활과 밀접한
학교와 학습
, 그리고
사회생활과 인간관계
에 관련된 한자들을 중심으로 약 40~50자를 정복해 보겠습니다.
새로운 한자들이 조금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부수나 한자와 연결 지어 생각하면 훨씬 쉽게 다가갈 수 있을 거예요.
자, 오늘도 힘차게 한자 탐험을 시작해볼까요?

🚀

4단계 학습 한자 (목표: 40자)🔗

이번 단계에서는 학교생활, 학습 활동, 그리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맺는 관계와 관련된 한자들을 중심으로 학습합니다.
마찬가지로 각 한자의
모양, 뜻, 음, 부수, 활용 단어, 그리고 연상 암기 팁
을 통해 효과적으로 기억해봅시다.

[학교, 학습, 지식 관련]
  1. 知 (알 지)
    • 뜻: 알다, 지식, 알리다
    • 부수: 矢 (화살 시)
    • 활용 단어: 知識(지식), 通知(통지), 知人(지인), 知慧(지혜)
    • 화살(矢)처럼 빠르게 입(口)으로 말을 하여 '알리다', '알다'.
  2. 育 (기를 육)
    (2단계 복습)
    • 뜻: 기르다, 자라다, 양육하다
    • 부수: 月 (고기 육 = 肉)
    • 활용 단어: 敎育(교육), 體育(체육), 養育(양육), 発育(발육)
    • 아이가 태어나(윗부분) 자라면서 살(月=肉)이 통통하게 붙으며 '자라는' 모습.
  3. 才 (재주 재)
    • 뜻: 재주, 재능, 인물
    • 부수: 扌 (손 수 변) - (원래 부수는 才이나, 手의 의미와도 통함)
    • 활용 단어: 才能(재능), 天才(천재), 人才(인재), 多才多能(다재다능)
    • 땅(一)에서 싹(亅과 丿)이 돋아나는 모양으로, '재주'의 싹을 의미.
  4. 文 (글월 문)
    (1,2단계 복습)
    • 뜻: 글월, 글자, 무늬, 문화, 꾸미다
    • 부수: 文 (제부수)
    • 활용 단어: 文化(문화), 文學(문학), 注文(주문), 文様(문양), 文明(문명)
    • 사람이 서서 가슴에 문신을 새긴 모양에서 '무늬', '글자'의 뜻.
  5. 字 (글자 자)
    (2단계 복습)
    • 뜻: 글자, 문자, (자식처럼) 사랑하다
    • 부수: 子 (아들 자)
    • 활용 단어: 文字(문자), 漢字(한자), 数字(수자 - 숫자), 活字(활자)
    • 집(宀) 안에 아이(子)가 있는 모습. 아이를 사랑하듯 글자를 익히거나, 글자가 아이처럼 파생되어 불어나는 것.
  6. 書 (글 서)
    (2단계 복습)
    • 뜻: 글, 책, 편지, 쓰다
    • 부수: 曰 (가로 왈)
    • 활용 단어: 讀書(독서), 書店(서점), 案內書(안내서), 書藝(서예)
    • 붓(聿)으로 종이 위에 말(曰)을 '쓰는' 모습.
  7. 紙 (종이 지)
    • 뜻: 종이
    • 부수: 糸 (실 사)
    • 활용 단어: 休紙(휴지), 新聞紙(신문지), 表紙(표지), 用紙(용지)
    • 실(糸)과 성씨(氏)가 합쳐져, 옛날에는 풀솜을 물에 풀어 떠서 '종이'를 만듦.
  8. 筆 (붓 필)
    • 뜻: 붓, 글씨, 적다
    • 부수: 竹 (대 죽)
    • 활용 단어: 鉛筆(연필), 毛筆(모필), 筆記(필기), 隨筆(수필)
    • 대나무(竹)로 만든 붓(聿)대.
  9. 答 (대답할 답)
    (2단계 복습)
    • 뜻: 대답하다, 답례하다
    • 부수: 竹 (대 죽)
    • 활용 단어: 解答(해답), 答辯(답변), 應答(응답), 報答(보답)
    • 대나무(竹)로 만든 서신이 합(合)하여 '대답'이 오고 감.
  10. 問 (물을 문)
    (2단계 복습)
    • 뜻: 묻다, 방문하다, 문제
    • 부수: 口 (입 구)
    • 활용 단어: 問題(문제), 質問(질문), 訪問(방문), 學問(학문)
    • 문(門) 앞에서 입(口)으로 '묻다'.
  11. 試 (시험 시)
    • 뜻: 시험하다, 시험
    • 부수: 言 (말씀 언)
    • 활용 단어: 試驗(시험), 入試(입시), 試驗管(시험관)
    • 말(言)로써 법(式 - 법 식)에 맞게 능력을 '시험하다'.
  12. 驗 (시험할 험/증험할 험)
    • 뜻: 시험하다, 경험하다, 증거
    • 부수: 馬 (말 마)
    • 활용 단어: 試驗(시험), 經驗(경험), 實驗(실험), 效驗(효험)
    • 말(馬)을 모두(僉 - 다 첨) 타보며 '시험하고 경험하다'.
  13. 勉 (힘쓸 면)
    • 뜻: 힘쓰다, 노력하다
    • 부수: 力 (힘 력)
    • 활용 단어: 勉强(면강 - 공부, 일본식 한자어), 勤勉(근면)
    • 아이를 낳을 때(免 - 면할 면, 아이 낳는 모습)처럼 '힘쓰다'. 힘(力)을 써서 어려움을 면(免)함.
  14. 强 (강할 강/힘쓸 강/억지로 강)
    • 뜻: 강하다, 힘세다, 억지로 하다
    • 부수: 弓 (활 궁)
    • 활용 단어: 强力(강력), 强弱(강약), 勉强(면강 - 공부), 強盜(강도)
    • 활(弓)처럼 강하고, 벌레(虫)처럼 끈질긴 힘.
    • 반의자
      : 弱 (약할 약 - 다음 한자)
  15. 弱 (약할 약)
    • 뜻: 약하다, 젊다
    • 부수: 弓 (활 궁)
    • 활용 단어: 弱點(약점), 强弱(강약), 虛弱(허약), 老弱者(노약자)
    • 활(弓) 두 개가 나란히 있지만 힘이 없어 '약하다'. 또는 깃(깃 羽의 생략형) 두 개가 약한 모습.
    • 반의자
      : 强 (강할 강)

[사회, 관계, 조직 관련]
  1. 國 (나라 국)
    (2단계 복습)
    • 뜻: 나라, 국가, 고향
    • 부수: 囗 (에운담 위)
    • 활용 단어: 國家(국가), 國民(국민), 外國(외국), 愛國(애국)
    • 성곽(囗) 안에 창(戈)과 입(口)으로 지키는 영토(一)가 있는 '나라'.
  2. 民 (백성 민)
    • 뜻: 백성, 국민, 사람
    • 부수: 氏 (각시 씨)
    • 활용 단어: 國民(국민), 民主主義(민주주의), 人民(인민), 農民(농민)
    • 눈이 찔려 애꾸가 된 노예의 모습에서 '백성'을 의미 (슬픈 유래).
  3. 都 (도읍 도)
    • 뜻: 도읍, 도시, 모두
    • 부수: 阝 (고을 읍 = 邑의 변)
    • 활용 단어: 都市(도시), 首都(수도), 都心(도심), 大都市(대도시)
    • 여러 사람(者 - 놈 자)들이 모여 사는 고을(阝)이 '도읍'.
  4. 市 (저자 시/도시 시)
    • 뜻: 저자(시장), 도시, 번화하다
    • 부수: 巾 (수건 건)
    • 활용 단어: 市場(시장), 都市(도시), 市內(시내), 市民(시민)
    • 돼지해 머리(亠) 아래 수건(巾)을 덮어 물건을 늘어놓은 '시장'.
  5. 邑 (고을 읍/땅 이름 유)
    (2단계 복습)
    • 뜻: 고을, 도시 (주로 방(阝)으로 쓰임)
    • 부수: 邑 (제부수)
    • 활용 단어: 都邑(도읍), 城邑(성읍) (단독 사용 적음, 部(떼 부), 郵(역참 우) 등에 부수로 활용)
    • 성곽(口) 안에 꿇어앉은 사람(卩)이 있는 '고을'.
  6. 里 (마을 리)
    (1단계 복습)
    • 뜻: 마을, 이웃, 거리 단위(약 0.4km)
    • 부수: 里 (제부수)
    • 활용 단어: 里長(이장), 千里眼(천리안), 同里(동리 - 같은 마을)
    • 밭(田)과 흙(土)으로 이루어진 '마을'.
  7. 村 (마을 촌)
    • 뜻: 마을
    • 부수: 木 (나무 목)
    • 활용 단어: 農村(농촌), 漁村(어촌), 村落(촌락)
    • 나무(木) 옆에 마디(寸)처럼 작게 모여 있는 '마을'.
  8. 家 (집 가)
    (2단계 복습)
    • 뜻: 집, 가정, 전문가
    • 부수: 宀 (갓머리)
    • 활용 단어: 家族(가족), 家庭(가정), 專門家(전문가), 大家(대가)
    • 지붕(宀) 아래 돼지(豕)를 기르던 옛날 '집'.
  9. 室 (집 실)
    • 뜻: 집, 방, 아내
    • 부수: 宀 (갓머리)
    • 활용 단어: 敎室(교실), 事務室(사무실), 寢室(침실), 室內(실내)
    • 지붕(宀) 아래 이를(至) 수 있는 공간, 즉 '방'이나 '집'.
  10. 友 (벗 우)
    • 뜻: 벗, 친구, 우애, 사귀다
    • 부수: 又 (또 우)
    • 활용 단어: 友情(우정), 親友(친우), 學友(학우), 交友(교우)
    • 오른손(又)과 오른손(又의 변형)을 서로 맞잡은 모습, 즉 '친구'.
  11. 親 (친할 친/어버이 친)
    • 뜻: 친하다, 가깝다 / 어버이, 부모
    • 부수: 見 (볼 견)
    • 활용 단어: 親舊(친구), 親切(친절) / 父親(부친), 母親(모친), 兩親(양친)
    • 나무(辛의 변형) 위에 서서(立) 멀리까지 '보는(見)' 부모의 마음처럼 '가까움', '친함'.
  12. 交 (사귈 교)
    • 뜻: 사귀다, 교차하다, 주고받다
    • 부수: 亠 (돼지해 머리)
    • 활용 단어: 交流(교류), 交通(교통), 外交(외교), 交換(교환)
    • 사람이 다리를 꼬고(乂) 앉아 '사귀는' 모습.
  13. 會 (모일 회/모임 회)
    • 뜻: 모이다, 모임, 만나다, 이해하다
    • 부수: 曰 (가로 왈)
    • 활용 단어: 會議(회의), 社會(사회), 會社(회사), 機會(기회)
    • 솥(曾의 아랫부분)에 음식을 넣고 뚜껑(亼)을 덮어 여러 사람이 모여(曰 - 말하다) 음식을 나누며 '모이다'.
  14. 社 (모일 사/토지신 사)
    • 뜻: 모이다, 단체 / 토지의 신
    • 부수: 示 (보일 시)
    • 활용 단어: 社會(사회), 會社(회사), 結社(결사) / 社稷(사직 - 나라)
    • 제단(示)에 흙(土)을 쌓아 토지신에게 제사 지내며 사람들이 '모이다'.
  15. 界 (지경 계)
    • 뜻: 지경, 경계, 범위, 세상
    • 부수: 田 (밭 전)
    • 활용 단어: 世界(세계), 境界(경계), 學界(학계), 限界(한계)
    • 밭(田) 사이에 끼어(介 - 낄 개) 있는 '경계'.

[기타 중요 빈출 한자 및 단어 구성 요소]
  1. 意 (뜻 의)
    • 뜻: 뜻, 생각, 의미
    • 부수: 心 (마음 심)
    • 활용 단어: 意味(의미), 意見(의견), 注意(주의), 意外(의외)
    • 소리(音)와 마음(心)이 합쳐져 마음속의 '뜻'을 나타냄.
  2. 心 (마음 심)
    (1, 2단계 복습)
    • 뜻: 마음, 생각, 중심
    • 부수: 心 (제부수)
    • 활용 단어: 心情(심정), 中心(중심), 安心(안심), 熱心(열심)
    • 사람의 심장 모양.
  3. 用 (쓸 용)
    • 뜻: 쓰다, 사용하다, 비용
    • 부수: 用 (제부수)
    • 활용 단어: 使用(사용), 用途(용도), 費用(비용), 有用(유용)
    • 통(桶)이나 절구(臼의 변형) 모양으로, 물건을 담아 '쓰는' 도구.
  4. 通 (통할 통)
    • 뜻: 통하다, 알리다, 전체
    • 부수: 辶 (책받침)
    • 활용 단어: 交通(교통), 普通(보통), 通信(통신), 通路(통로)
    • 길(辶)을 따라 용(甬 - 길 용)처럼 길게 '통하다'.
  5. 道 (길 도)
    (2단계 복습)
    • 뜻: 길, 방법, 도리, 말하다
    • 부수: 辶 (책받침)
    • 활용 단어: 道路(도로), 方法(방법), 道理(도리), 書道(서도)
    • 머리(首)를 들고 길(辶)을 '나아가는' 모습.
  6. 業 (업 업)
    • 뜻: 업, 직업, 공업, 학업
    • 부수: 木 (나무 목)
    • 활용 단어: 職業(직업), 事業(사업), 卒業(졸업), 工業(공업)
    • 악기를 걸어두는 틀(윗부분) 모양으로, 여러 사람이 함께 하는 '일'이나 '업'.
  7. 利 (이로울 리/이)
    • 뜻: 이롭다, 이익, 날카롭다
    • 부수: 刂 (선칼 도 방)
    • 활용 단어: 利用(이용), 利益(이익), 便利(편리), 勝利(승리)
    • 벼(禾)를 칼(刂)로 베어 수확하는 것이 '이롭다'.
  8. 海 (바다 해)
    • 뜻: 바다
    • 부수: 氵 (물 수 변)
    • 활용 단어: 海外(해외), 海水(해수), 海産物(해산물), 東海(동해)
    • 물(氵)이 매양(每 - 풀이 무성한 모양) 무성하게 많은 곳이 '바다'.
  9. 江 (강 강)
    • 뜻: 강
    • 부수: 氵 (물 수 변)
    • 활용 단어: 江山(강산), 江邊(강변), 漢江(한강), 長江(장강)
    • 물(氵)이 장인(工)이 만든 수로처럼 길게 흐르는 '강'.
  10. 場 (마당 장)
    • 뜻: 마당, 장소, 경우
    • 부수: 土 (흙 토)
    • 활용 단어: 場所(장소), 運動場(운동장), 市場(시장), 場面(장면)
    • 흙(土)으로 다져진 넓고 볕(昜 - 볕 양)이 잘 드는 '마당'.


🚀

유의자/반의자 관계 확장🔗

2단계에서 맛본 유의자/반의자 관계를 조금 더 확장해 봅시다.
이런 관계를 통해 한자를 묶어 기억하면 더 오래가고, 단어의 의미도 명확해집니다.
  • 유의자 (뜻이 비슷한 한자)
    • 알다
      : 知(알 지 - 지식으로 앎), 識(알 식 - 분별하여 앎), 覺(깨달을 각 - 느껴서 앎)
    • : 家(집 가 - 가정), 宅(집 택 - 주택), 室(집 실 - 방), 堂(집 당 - 큰 집)
    • : 道(길 도 - 방법, 도리 포함), 路(길 로 - 실제 길), 街(거리 가 - 도시의 길)
  • 반의자 (뜻이 반대되는 한자)
    • 强(강할 강) ↔ 弱(약할 약) (오늘 배움)
    • 勝(이길 승) ↔ 敗(패할 패) (勝, 敗는 다음 단계 예정)
    • 善(착할 선) ↔ 惡(악할 악) (善, 惡은 다음 단계 예정)
    • 難(어려울 난) ↔ 易(쉬울 이) (難, 易은 다음 단계 예정)

🚀

2일차 첫 번째 단계 학습 마무리🔗

5단계에서는 생활 속 사물이나 추상적인 개념과 관련된 한자들을 더 배우고, 간단한 사자성어도 접해볼 예정입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