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leeBlog
sitemapaboutMe

posting thumbnail
빈출 한자 확장 (생활/사물, 추상 개념 기초) - 노베이스 3일 만에 한자 4급 합격하기 5단계
Expanding Essential Hanja (Life/Objects, Basic Abstract Concepts) - Passing Hanja Level 4 in 3 Days Step 5

📅

🚀

들어가기 전에🔗

지난 4단계까지 우리는 학교, 학습, 사회, 관계 등 다양한 주제의 한자들을 익히며 총 165자의 한자에 대한 지식을 쌓았습니다.
이번 5단계에서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활 속 사물들
과,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중요한
기초적인 추상적 개념
들을 나타내는 한자들을 중심으로 약 40~50자를 더 배워보겠습니다.

🚀

5단계 학습 한자 (목표: 40자)🔗

이번 단계에서는 우리 생활과 밀접한 사물, 그리고 생각이나 감정 등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한자들을 중심으로 학습합니다.
각 한자의
모양, 뜻, 음, 부수, 활용 단어, 그리고 연상 암기 팁
을 통해 효과적으로 기억해봅시다.

[생활 속 사물 및 도구 관련]
  1. 物 (만물 물/물건 물)
    • 뜻: 물건, 만물, 사물
    • 부수: 牛 (소 우 변)
    • 활용 단어: 物品(물품), 動物(동물), 植物(식물), 事物(사물)
    • 소(牛)는 중요한 '물건'이었고, 말 물(勿)은 '아니다'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음을 빌려옴. 즉, 소처럼 가치 있는 '물건'.
  2. 衣 (옷 의)
    (3단계 복습)
    • 뜻: 옷, 입다, 의지하다
    • 부수: 衣 (제부수)
    • 활용 단어: 衣服(의복), 衣食住(의식주), 更衣室(경의실 - 탈의실), 白衣(백의)
    • 사람이 옷깃을 여미고 있는 윗옷의 모양.
  3. 食 (밥 식/먹을 식/기를 사)
    (1,2,3단계 복습)
    • 뜻: 밥, 음식, 먹다, (사람을) 기르다(사)
    • 부수: 食 (제부수)
    • 활용 단어: 食事(식사), 食品(식품), 間食(간식), 食堂(식당)
    • 밥그릇(亼) 위에 뚜껑(良의 변형)이 덮인 모양.
  4. 住 (살 주)
    (3단계 복습)
    • 뜻: 살다, 거주하다, 머무르다
    • 부수: 亻 (사람 인 변)
    • 활용 단어: 住居(주거), 住所(주소), 衣食住(의식주), 居住(거주)
    • 사람(亻)이 주인(主)으로서 '머무르며 사는' 곳.
  5. 門 (문 문)
    (2,4단계 복습)
    • 뜻: 문, 집안, 방법, 부문
    • 부수: 門 (제부수)
    • 활용 단어: 大門(대문), 專門(전문), 入門(입문), 名門(명문)
    • 양쪽으로 여닫는 문의 모양.
  6. 戶 (지게 호/집 호)
    (2단계 복습)
    • 뜻: 지게(외짝 문), 집, 가구
    • 부수: 戶 (제부수)
    • 활용 단어: 戶口調査(호구조사), 門戶開放(문호개방), 戶主(호주)
    • 한쪽으로만 열리는 외짝 문의 모양.
  7. 窓 (창 창)
    • 뜻: 창, 창문
    • 부수: 穴 (구멍 혈)
    • 활용 단어: 窓門(창문), 同窓會(동창회), 車窓(차창)
    • 구멍(穴)과 마음(心의 변형)과 창문살(囪) 모양으로, 마음을 밝게 해주는 '창'.
  8. 舟 (배 주)
    • 뜻: 배 (선박)
    • 부수: 舟 (제부수)
    • 활용 단어: 舟中(주중 - 배 안), 輕舟(경주 - 가벼운 배) (주로 부수로 많이 쓰임: 船, 般, 航 등)
    • 작은 배의 모양을 본뜬 글자.
  9. 車 (수레 거/수레 차)
    • 뜻: 수레, 자동차
    • 부수: 車 (제부수)
    • 활용 단어: 自動車(자동차), 馬車(마차), 自轉車(자전거), 列車(열차)
    • 바퀴 두 개와 짐칸이 있는 수레의 모양.
  10. 馬 (말 마)
    (3단계 복습)
    • 뜻: 말 (동물)
    • 부수: 馬 (제부수)
    • 활용 단어: 馬車(마차), 走馬加鞭(주마가편), 天高馬肥(천고마비), 競馬(경마)
    • 말의 모습을 본뜬 글자 (갈기, 다리, 꼬리).
  11. 牛 (소 우)
    (3단계 복습)
    • 뜻: 소
    • 부수: 牛 (제부수)
    • 활용 단어: 牛乳(우유), 韓牛(한우), 九牛一毛(구우일모), 牛耳讀經(우이독경)
    • 소의 머리와 뿔 모양.
  12. 魚 (물고기 어)
    (3단계 복습)
    • 뜻: 물고기
    • 부수: 魚 (제부수)
    • 활용 단어: 魚類(어류), 金魚(금붕어), 水魚之交(수어지교), 漁夫(어부)
    • 물고기 모양을 본뜬 글자 (머리, 몸통, 지느러미, 꼬리).
  13. 鳥 (새 조)
    (3단계 복습)
    • 뜻: 새
    • 부수: 鳥 (제부수)
    • 활용 단어: 鳥類(조류), 白鳥(백조), 一石二鳥(일석이조), 花鳥圖(화조도)
    • 새의 모양을 본뜬 글자 (부리, 머리, 날개, 다리, 꼬리).
  14. 米 (쌀 미)
    • 뜻: 쌀, 미국
    • 부수: 米 (제부수)
    • 활용 단어: 白米(백미), 玄米(현미), 美國(미국 - 음차), 新米(신미 - 햅쌀)
    • 벼 이삭에 쌀알(점들)이 붙어있는 모양.
  15. 肉 (고기 육)
    (부수로는 月로 변형)
    • 뜻: 고기, 살
    • 부수: 肉 (제부수)
    • 활용 단어: 肉類(육류), 豚肉(돈육 - 돼지고기), 牛肉(우육 - 소고기), 筋肉(근육)
    • 썰어놓은 고기 한 점의 모양.

[추상적 개념 및 상태 관련 - 기초]
  1. 主 (주인 주/임금 주)
    • 뜻: 주인, 임금, 주장하다, 주되다
    • 부수: 丶 (점 주)
    • 활용 단어: 主人(주인), 主人公(주인공), 主張(주장), 主要(주요)
    • 등잔(王 모양) 위에 불꽃(丶)이 타오르는 모습. 집안의 중심이 되는 '주인'.
  2. 客 (손 객/손님 객)
    • 뜻: 손님, 나그네
    • 부수: 宀 (갓머리)
    • 활용 단어: 손客(손객 - 손님), 客室(객실), 觀光客(관광객), 食客(식객)
    • 집(宀)에 각지(各)에서 찾아오는 '손님'.
  3. 心 (마음 심)
    (1,2,4단계 복습 겸 핵심 부수)
    • 뜻: 마음, 생각, 중심, 심장
    • 부수: 心 (제부수)
    • 활용 단어: 心情(심정), 中心(중심), 安心(안심), 熱心(열심), 心臟(심장)
    • 사람의 심장 모양.
  4. 意 (뜻 의)
    (4단계 복습)
    • 뜻: 뜻, 생각, 의미, 의견
    • 부수: 心 (마음 심)
    • 활용 단어: 意味(의미), 意見(의견), 注意(주의), 意外(의외), 意思(의사)
    • 소리(音)와 마음(心)이 합쳐져 마음속의 '뜻'을 나타냄.
  5. 念 (생각 념/염)
    • 뜻: 생각하다, 생각, 기억하다
    • 부수: 心 (마음 심)
    • 활용 단어: 觀念(관념), 記念(기념), 信念(신념), 念願(염원)
    • 이제(今) 막 마음(心)속에 떠오른 '생각'.
  6. 思 (생각 사)
    • 뜻: 생각하다, 그리워하다
    • 부수: 心 (마음 심)
    • 활용 단어: 思考(사고), 思想(사상), 思春期(사춘기), 相思病(상사병)
    • 머리(囟 - 정수리 신)와 마음(心)으로 깊이 '생각하다'.
  7. 情 (뜻 정)
    (2단계 복습)
    • 뜻: 뜻, 마음, 정, 사정, 실정
    • 부수: 忄 (마음 심 변)
    • 활용 단어: 感情(감정), 愛情(애정), 情報(정보), 熱情(열정),友情(우정)
    • 푸른(靑) 마음(忄)이 바로 '정'.
  8. 事 (일 사)
    (2,4단계 복습)
    • 뜻: 일, 사건, 섬기다, 직업
    • 부수: 亅 (갈고리 궐)
    • 활용 단어: 事件(사건), 事務室(사무실), 事實(사실), 食事(식사), 事業(사업)
    • 깃발을 든 관리(吏의 변형)가 손(又의 변형)에 붓(亅)을 들고 '일'을 기록하는 모습.
  9. 業 (업 업)
    (4단계 복습)
    • 뜻: 업, 직업, 공업, 학업, 일
    • 부수: 木 (나무 목) - (윗부분이 악기 거는 틀 모양)
    • 활용 단어: 職業(직업), 事業(사업), 卒業(졸업), 工業(공업), 宿業(숙업)
    •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叢의 생략형) 하는 '일'이나 '업'.
  10. 力 (힘 력/역)
    (1,2,4단계 복습)
    • 뜻: 힘, 능력, 노력하다
    • 부수: 力 (제부수)
    • 활용 단어: 努力(노력), 體力(체력), 協力(협력), 實力(실력), 暴力(폭력)
    • 밭 가는 쟁기 모양 또는 팔에 힘줄이 솟은 모양.
  11. 用 (쓸 용)
    (4단계 복습)
    • 뜻: 쓰다, 사용하다, 도구, 비용
    • 부수: 用 (제부수)
    • 활용 단어: 使用(사용), 用途(용도), 費用(비용), 有用(유용), 信用(신용)
    • 통(桶)이나 절구(臼의 변형) 모양으로, 물건을 담아 '쓰는' 도구.
  12. 才 (재주 재)
    (4단계 복습)
    • 뜻: 재주, 재능, 인물, 바탕
    • 부수: 扌 (손 수 변) - (원래 부수는 才)
    • 활용 단어: 才能(재능), 天才(천재), 人才(인재), 多才多能(다재다능)
    • 땅(一)에서 싹(亅과 丿)이 돋아나는 모양으로, '재주'의 싹을 의미.
  13. 技 (재주 기)
    • 뜻: 재주, 기술
    • 부수: 扌 (손 수 변)
    • 활용 단어: 技術(기술), 技倆(기량), 特技(특기), 競技(경기)
    • 손(扌)으로 하는 여러 갈래(支 - 가를 지)의 '재주'.
  14. 法 (법 법)
    • 뜻: 법, 방법, 불법(佛法)
    • 부수: 氵 (물 수 변)
    • 활용 단어: 法律(법률), 方法(방법), 合法(합법), 文法(문법)
    • 물(氵)이 흘러가듯(去) 순리에 맞는 것이 '법'.
  15. 度 (법도 도/정도 도/헤아릴 탁)
    • 뜻: 법도, 정도, 도량 / 헤아리다(탁), 건너다(탁)
    • 부수: 广 (엄호)
    • 활용 단어: 制度(제도), 程度(정도), 速度(속도), 溫度(온도) / 忖度(촌탁)
    • 집(广)안에서 손(又)으로 여러 번(庶 - 여러 서의 생략) 재어 '법도'나 '정도'를 정함.
  16. 安 (편안 안)
    (2,3단계 복습)
    • 뜻: 편안하다, 안전하다, 값싸다, 안치하다
    • 부수: 宀 (갓머리)
    • 활용 단어: 安全(안전), 安心(안심), 不安(불안), 安定(안정)
    • 집(宀) 안에 여자(女)가 있어 '편안하다'.
  17. 全 (온전 전)
    • 뜻: 온전하다, 완전하다, 전부
    • 부수: 入 (들 입)
    • 활용 단어: 全部(전부), 完全(완전), 安全(안전), 全國(전국)
    • 사람(人)이 모여 왕(王)처럼 완전한 것을 이룸. 또는, 옥(玉)이 깨지지 않고 '온전함'.
  18. 定 (정할 정)
    • 뜻: 정하다, 안정되다, 반드시
    • 부수: 宀 (갓머리)
    • 활용 단어: 決定(결정), 安定(안정), 一定(일정), 豫定(예정)
    • 집(宀)안에서 발(疋 - 발 소)을 멈추고 한 곳을 '정하다'.
  19. 元 (으뜸 원)
    • 뜻: 으뜸, 처음, 근본, 머리
    • 부수: 儿 (어진사람 인 발)
    • 활용 단어: 元旦(원단), 元來(원래), 元金(원금), 元帥(원수)
    • 사람(儿)의 머리(두 이(二)는 머리 위를 상징)가 '으뜸'.
  20. 原 (근원 원/언덕 원)
    • 뜻: 근원, 본래 / 언덕, 들판
    • 부수: 厂 (기슭 엄)
    • 활용 단어: 原因(원인), 原來(원래), 原則(원칙) / 高原(고원), 平原(평원)
    • 언덕(厂) 아래 샘(泉 - 샘 천)에서 물이 솟아 나오는 '근원'.
  21. 位 (자리 위/지위 위)
    • 뜻: 자리, 지위, 위치
    • 부수: 亻 (사람 인 변)
    • 활용 단어: 位置(위치), 地位(지위), 單位(단위), 王位(왕위)
    • 사람(亻)이 서 있는(立) '자리'.
  22. 品 (물건 품)
    • 뜻: 물건, 품위, 등급, 종류
    • 부수: 口 (입 구)
    • 활용 단어: 物品(물품), 商品(상품), 品質(품질), 作品(작품)
    • 여러 개의 입(口口口)으로 물건의 좋고 나쁨을 말하며 '품평'하거나, 쌓여있는 '물건들'.
  23. 光 (빛 광)
    (2단계 복습)
    • 뜻: 빛, 경치, 영광, 명예
    • 부수: 儿 (어진사람 인 발)
    • 활용 단어: 光明(광명), 日光(일광), 觀光(관광), 榮光(영광)
    • 사람(儿) 머리 위로 불(火)이 타오르며 '빛'을 내는 모습.
  24. 林 (수풀 림)
    (1단계 핵심 부수 연관)
    • 뜻: 수풀, 많다
    • 부수: 木 (나무 목)
    • 활용 단어: 山林(산림), 林業(임업), 竹林(죽림)
    • 나무(木) 두 그루가 모여 '수풀'을 이룸.
  25. 森 (수풀 삼)
    • 뜻: 수풀이 빽빽하다, 무성하다
    • 부수: 木 (나무 목)
    • 활용 단어: 森林(삼림)
    • 나무(木) 세 그루가 모여 빽빽한 '수풀'을 이룸. 林보다 더 무성한 느낌.

🚀

유의자/반의자 관계 심화🔗

2단계에서 맛본 유의자/반의자 관계를 좀 더 확장해 봅시다.
  • 유의자 (뜻이 비슷한 한자)
    • 생각하다
      : 念(생각 념 - 마음에 새기다), 思(생각 사 - 헤아리다), 考(생각할 고 - 깊이 따져 생각하다), 慮(생각할 려 - 앞날을 염려하며 생각하다) (考, 慮는 4급 범위 확인 필요)
    • 보다
      : 見(볼 견), 視(볼 시), 觀(볼 관 - 자세히 보다, 경치를 보다), 察(살필 찰 - 자세히 살피다) (視, 觀, 察은 4급 범위 확인 필요)
    • : 事(일 사 - 사건, 하는 일), 業(업 업 - 직업, 과업), 務(힘쓸 무 - 맡은 일), 役(부릴 역 - 시키는 일, 역할) (務, 役은 4급 범위 확인 필요)
  • 반의자 (뜻이 반대되는 한자)
    • 有(있을 유) ↔ 無(없을 무) (오늘 배움)
    • 生(날 생) ↔ 死(죽을 사) (오늘 배움)
    • 來(올 래) ↔ 去(갈 거) (오늘 배움)
    • 楽(즐거울 락) ↔ 苦(괴로울 고) (오늘 배움, 苦는 3단계 복습)

🚀

학습 마무리🔗

오늘 5단계에서는 생활 속 사물과 기초적인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한자 40자를 정복했습니다!
2일차의 마지막 단계(전체 6단계)에서는 유의자, 반의어, 동음이의어 관계를 더 깊이 탐구하고, 약자 및 속자 등 한자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