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leeBlog
sitemapaboutMe

posting thumbnail
의미 관계 및 형태 이해 심화 (유의·반의·동음이의어, 약자 등) - 노베이스 3일 만에 한자 4급 합격하기 6단계
Deepening Understanding of Hanja Relations & Forms (Synonyms, Antonyms, Homonyms, Abbreviations) - Passing Hanja Level 4 in 3 Days Step 6

📅

🚀

들어가기 전에🔗

지난 5단계까지 우리는 생활 속 사물과 기본적인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한자들을 익히며 총 205자의 한자에 대한 지식을 쌓았습니다.
이번 6단계에서는 단순히 새로운 한자를 암기하는 것을 넘어, 한자들이 서로 어떤 의미 관계를 맺고 있는지(유의자, 반의자, 동음이의어), 그리고 때로는 원래 모습과 다르게 쓰이는 한자들의 형태(약자, 속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며 한자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하고자 합니다.
물론, 이 과정에서도 시험에 나올 법한 새로운 핵심 한자 약 30~40자를 추가로 익힐 예정입니다.

🚀

6단계 학습 한자 (목표: 35자) 및 의미/형태 심화🔗

이번 단계에서는 새로운 한자 학습과 함께, 한자 간의 의미 관계 및 형태적 특징을 심도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의미가 확장되거나 혼동하기 쉬운 한자]
  1. 員 (인원 원/수효 원)
    • 뜻: 인원, 수효, 관원, 둥글다
    • 부수: 口 (입 구)
    • 활용 단어: 人員(인원), 會社員(회사원), 全員(전원), 定員(정원)
    • 둥근(口 - 둥근 솥 모양) 조개(貝 - 돈, 재물)를 세어 '수효'를 파악하거나, 관청의 '인원'.
  2. 買 (살 매)
    • 뜻: 사다, 구하다
    • 부수: 貝 (조개 패)
    • 활용 단어: 買賣(매매),購買(구매), 買收(매수)
    • 그물(罒)로 조개(貝)를 잡아 '사다'.
    • 반의자
      : 賣 (팔 매 - 다음 한자)
  3. 賣 (팔 매)
    • 뜻: 팔다
    • 부수: 士 (선비 사) - (원래는 出+買의 의미)
    • 활용 단어: 賣買(매매),販賣(판매), 特賣(특매)
    • 사들인(買) 물건을 다시 내다(出의 변형 士) '팔다'.
    • 반의자
      : 買 (살 매)
  4. 店 (가게 점)
    • 뜻: 가게, 상점
    • 부수: 广 (엄호)
    • 활용 단어: 書店(서점), 店員(점원), 商店(상점), 分店(분점)
    • 지붕(广) 아래 점칠(占) 수 있을 정도로 물건이 많은 '가게'.
  5. 市 (저자 시/도시 시)
    (4단계 복습)
    • 뜻: 저자(시장), 도시, 번화하다
    • 부수: 巾 (수건 건)
    • 활용 단어: 市場(시장), 都市(도시), 市內(시내), 市民(시민)
    • 돼지해 머리(亠) 아래 수건(巾)을 덮어 물건을 늘어놓은 '시장'.
  6. 野 (들 야)
    • 뜻: 들, 시골, 야생의
    • 부수: 里 (마을 리)
    • 활용 단어: 野外(야외), 分野(분야), 野生(야생), 野球(야구)
    • 마을(里)의 흙(土)이 펼쳐진 '들'. (원래는 林+土+予)
  7. 界 (지경 계)
    (4단계 복습)
    • 뜻: 지경, 경계, 범위, 세상
    • 부수: 田 (밭 전)
    • 활용 단어: 世界(세계), 境界(경계), 學界(학계), 限界(한계)
    • 밭(田) 사이에 끼어(介 - 낄 개) 있는 '경계'.
  8. 由 (말미암을 유)
    • 뜻: 말미암다, 까닭, 부터
    • 부수: 田 (밭 전)
    • 활용 단어: 自由(자유), 理由(이유), 經由(경유), 由來(유래)
    • 나무 열매에서 기름을 짜는 모양 또는 밭(田)에서 싹(丨)이 나오는 '까닭'.
  9. 油 (기름 유)
    • 뜻: 기름, 유화물감
    • 부수: 氵 (물 수 변)
    • 활용 단어: 石油(석유), 食用油(식용유), 油田(유전), 油畫(유화)
    • 물(氵)처럼 흐르는, 나무 열매(由)에서 짠 '기름'.
  10. 田 (밭 전)
    (1,2,4단계 복습)
    • 뜻: 밭, 사냥하다
    • 부수: 田 (제부수)
    • 활용 단어: 田地(전지), 油田(유전), 田園(전원), 塩田(염전)
    • 네모반듯하게 구획된 밭 모양.

[동작 및 상태 관련 심화]
  1. 決 (결단할 결)
    • 뜻: 결단하다, 정하다, 터지다
    • 부수: 氵 (물 수 변)
    • 활용 단어: 決定(결정), 解決(해결), 決心(결심), 決裂(결렬)
    • 물(氵)길을 트듯이(夬 - 터놓을 쾌) 과감하게 '결단하다'.
  2. 定 (정할 정)
    (5단계 복습)
    • 뜻: 정하다, 안정되다, 반드시
    • 부수: 宀 (갓머리)
    • 활용 단어: 決定(결정), 安定(안정), 一定(일정), 豫定(예정)
    • 집(宀)안에서 발(疋 - 발 소)을 멈추고 한 곳을 '정하다'.
  3. 選 (가릴 선)
    • 뜻: 가리다, 뽑다, 선택하다
    • 부수: 辶 (책받침)
    • 활용 단어: 選擇(선택), 選手(선수), 當選(당선), 選擧(선거)
    • 두 사람(巽 - 공손할 손, 함께라는 의미도 있음)이 함께 길(辶)을 가며 좋은 것을 '가리다'.
  4. 擇 (가릴 택)
    • 뜻: 가리다, 고르다
    • 부수: 扌 (손 수 변)
    • 활용 단어: 選擇(선택), 擇日(택일)
    • 손(扌)으로 풀(睪 - 엿볼 역, 풀이 무성한 모양) 속에서 좋은 것을 '가리다'.
    • 유의자
      : 選 (가릴 선)
  5. 開 (열 개)
    • 뜻: 열다, 시작하다, 피다
    • 부수: 門 (문 문)
    • 활용 단어: 開始(개시), 開放(개방), 公開(공개), 開發(개발)
    • 문(門)의 빗장(一)을 두 손(廾)으로 '열다'.
    • 반의자
      : 閉 (닫을 폐 - 다음 한자)
  6. 閉 (닫을 폐)
    • 뜻: 닫다, 마치다
    • 부수: 門 (문 문)
    • 활용 단어: 閉鎖(폐쇄), 開閉(개폐), 閉會(폐회)
    • 문(門)에 인재(才)가 들어가 못 나오게 '닫다'.
    • 반의자
      : 開 (열 개)
  7. 運 (옮길 운)
    • 뜻: 옮기다, 운수, 운행하다
    • 부수: 辶 (책받침)
    • 활용 단어: 運動(운동), 運命(운명), 運轉(운전), 幸運(행운)
    • 수레(車)가 길(辶) 위를 구름(雲의 생략형)처럼 '옮겨가다'.
  8. 動 (움직일 동)
    (2단계 복습)
    • 뜻: 움직이다, 감동하다, 흔들리다
    • 부수: 力 (힘 력)
    • 활용 단어: 動物(동물), 行動(행동), 感動(감동), 運動(운동)
    • 무거운(重) 것을 힘(力)으로 '움직이다'.
  9. 進 (나아갈 진)
    • 뜻: 나아가다, 발전하다
    • 부수: 辶 (책받침)
    • 활용 단어: 前進(전진), 進路(진로), 進學(진학), 進化(진화)
    • 새(隹 - 새 추)가 길(辶)을 따라 앞으로 '나아가다'.
    • 반의자
      : 退 (물러날 퇴 - 다음 한자)
  10. 退 (물러날 퇴)
    • 뜻: 물러나다, 물리치다, 그만두다
    • 부수: 辶 (책받침)
    • 활용 단어: 後退(후퇴), 退學(퇴학), 引退(은퇴), 早退(조퇴)
    • 해(日)가 지는(艮 - 그칠 간) 쪽으로 길(辶)을 따라 '물러나다'.
    • 반의자
      : 進 (나아갈 진)

[기타 중요한 추상적 개념 및 상태]
  1. 利 (이로울 리/이)
    (4단계 복습)
    • 뜻: 이롭다, 이익, 날카롭다, 편리하다
    • 부수: 刂 (선칼 도 방)
    • 활용 단어: 利用(이용), 利益(이익), 便利(편리), 勝利(승리), 有利(유리)
    • 벼(禾)를 칼(刂)로 베어 수확하는 것이 '이롭다'.
  2. 害 (해할 해)
    • 뜻: 해치다, 해롭다, 재앙
    • 부수: 宀 (갓머리)
    • 활용 단어: 害惡(해악), 損害(손해), 殺害(살해), 公害(공해)
    • 집(宀)안에서 풍년(丰 - 예쁠 봉, 풀 무성한 모양)을 기원하는 말(口)을 하지만, 실제로는 '해롭다'. (해석 분분) 또는, 입(口)으로 남을 헐뜯어(윗부분) '해치다'.
    • 반의자
      : 利 (이로울 리)
  3. 成 (이룰 성)
    • 뜻: 이루다, 완성하다, 되다
    • 부수: 戈 (창 과)
    • 활용 단어: 成功(성공), 完成(완성), 成長(성장), 達成(달성)
    • 도끼(丁 - 고무래 정)와 창(戈)으로 일을 '이루다'.
  4. 敗 (패할 패)
    • 뜻: 패하다, 지다, 깨지다, 썩다
    • 부수: 攵 (칠 복)
    • 활용 단어: 失敗(실패), 勝敗(승패), 腐敗(부패), 敗北(패배)
    • 조개(貝 - 재물)를 쳐서(攵) 깨뜨리니 '패하다'.
    • 반의자
      : 成 (이룰 성), 勝 (이길 승 - 다음 한자)
  5. 勝 (이길 승)
    • 뜻: 이기다, 낫다, 뛰어나다
    • 부수: 力 (힘 력)
    • 활용 단어: 勝利(승리), 勝敗(승패), 優勝(우승), 名勝地(명승지)
    • 고기(月=肉)를 힘(力)으로 들어 올릴 수 있을 만큼(朕 - 나 짐, 견디다) '이기다'.
    • 반의자
      : 敗 (패할 패)
  6. 論 (논할 론/논)
    • 뜻: 논하다, 의논하다, 주장, 이론
    • 부수: 言 (말씀 언)
    • 활용 단어: 議論(의론), 理論(이론), 論文(논문), 結論(결론)
    • 말(言)로써 조리 있게(侖 - 둥글 륜, 생각 륜) '논하다'.
  7. 談 (말씀 담)
    • 뜻: 말씀, 이야기하다, 상담하다
    • 부수: 言 (말씀 언)
    • 활용 단어: 會談(회담),相談(상담), 農談(농담)
    • 말(言)에 불꽃(炎 - 불꽃 염)처럼 열기를 띠며 하는 '이야기'.
  8. 議 (의논할 의)
    • 뜻: 의논하다, 회의, 의견
    • 부수: 言 (말씀 언)
    • 활용 단어: 會議(회의), 建議(건의), 議長(의장), 不可思議(불가사의)
    • 말(言)로써 각자의 옳은(義 - 옳을 의) 바를 '의논하다'.
  9. 然 (그러할 연/탈 연)
    • 뜻: 그러하다, 그렇다 / 타다, 불태우다
    • 부수: 灬 (불 화 발)
    • 활용 단어: 自然(자연), 當然(당연), 偶然(우연) / 燃燒(연소)
    • 개(犬)고기(月=肉)를 불(灬)에 구워 먹는 것이 '그러하다' 또는 '타다'.
  10. 不 (아닐 불/아닐 부)
    (1단계 복습)
    • 뜻: 아니다, 못하다 (다음 글자 첫소리가 'ㄷ','ㅈ'이면 '부'로 읽힘)
    • 부수: 一 (한 일)
    • 활용 단어: 不正(부정), 不安(불안), 不可能(불가능), 不渡(부도)
    • 씨앗이 땅속에서 아직 싹트지 못한 모양, '아니다'.
  11. 非 (아닐 비)
    • 뜻: 아니다, 그르다, 나무라다
    • 부수: 非 (제부수)
    • 활용 단어: 是非(시비), 非行(비행), 非難(비난), 非常(비상)
    • 새의 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펼쳐진 모양, '어긋나다', '아니다'.
    • 유의자
      : 不 (아닐 불)
  12. 當 (마땅 당)
    • 뜻: 마땅하다, 당하다, 해당하다
    • 부수: 田 (밭 전)
    • 활용 단어: 當然(당연), 該當(해당), 當選(당선), 當番(당번)
    • 밭(田)에서 일하는 것이 오히려(尙 - 오히려 상) '마땅하다'. 또는 밭(田)에 덮개(집 모양 尙)가 있어 마땅한 장소.
  13. 必 (반드시 필)
    • 뜻: 반드시, 꼭
    • 부수: 心 (마음 심)
    • 활용 단어: 必要(필요), 必修(필수), 必勝(필승), 必然(필연)
    • 마음(心)에 새긴(丿) 듯 '반드시' 해야 할 일. 또는 창(戈의 변형)으로 나누는(八) 마음.
  14. 可 (옳을 가/가히 가)
    • 뜻: 옳다, 가능하다, ~할 만하다
    • 부수: 口 (입 구)
    • 활용 단어: 可能(가능), 許可(허가), 可否(가부), 不可(불가)
    • 입(口)으로 옳다고(丁 - 고무래 정, 옳다) 말하여 '옳다', '가능하다'.
  15. 易 (바꿀 역/쉬울 이)
    • 뜻: 바꾸다(역), 쉽다(이)
    • 부수: 日 (날 일)
    • 활용 단어: 貿易(무역), 變易(변역) / 容易(용이), 安易(안이), 平易(평이)
    • 해(日)와 달(勿의 변형, 달을 뜻하기도 함)이 바뀌는 모습에서 '바꾸다'. 또는 도마뱀이 햇볕 아래서 색을 쉽게 바꾸는 모습에서 '쉽다'.

🚀

2일차 학습 마무리 및 3일차 준비🔗

4단계부터 6단계까지, 우리는 학교/학습, 사회/관계, 생활/사물, 추상적 개념 등 다양한 범주의 한자들을 익히고, 한자 간의 의미 관계와 형태적 특징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이로써 우리는 약 240자(1단계 40 + 2단계 45 + 3단계 40 + 4단계 40 + 5단계 40 + 6단계 35 = 240자) 정도의 핵심 한자들과 그 활용법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3일차 학습에서는 지금까지 배운 한자들을 총정리하고, 4급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주요 문제 유형(독음, 훈음, 반의어/유의어, 사자성어, 한자어 뜻풀이 등)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며 실전 감각을 최대로 끌어올릴 예정입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