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leeBlog
sitemap
aboutMe

posting thumbnail
주요 사자성어 및 한자어 독음/훈음 집중 연습 - 노베이스 3일 만에 한자 4급 합격하기 7단계
Mastering Idioms & Hanja Readings (Pronunciation/Meaning) - Passing Hanja Level 4 in 3 Days Step 7

📅

🚀

들어가기 전에 🔗

지난 이틀 동안 우리는 약 240자에 달하는 핵심 한자들을 익히고, 그 의미와 형태, 관계까지 살펴보며 한자에 대한 이해를 넓혔습니다.
이번 3일차 학습에서는 지금까지 갈고닦은 실력을 바탕으로, 실제 한자 4급 시험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문제 유형들을 집중적으로 공략할 예정입니다.
7단계에서는 특히 시험의 단골손님인
주요 사자성어
한자어의 정확한 독음 및 훈음
을 익히는 데 집중하겠습니다.

🚀

7단계 학습: 주요 사자성어 및 한자어 독음/훈음 정복 🔗

이번 단계에서는 새로운 한자 학습은 최소화하고, 이미 배운 한자들로 구성된 주요 사자성어와 한자어 읽기 연습에 집중합니다. 사자성어는 그 자체로 문제에 나올 수도 있고, 한자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꼭 알아야 할 4급 수준 주요 사자성어 🔗

각 사자성어의 한자와 독음, 그리고 간단한 뜻을 함께 익혀봅시다. 괄호 안은 각 한자의 훈음입니다.
(4급 배정 한자 내에서 구성된, 출제 빈도가 높은 사자성어 위주로 선정합니다.)
  1. 大同小異 (대동소이)
    • 한자: 大(큰 대), 同(한가지 동), 小(작을 소), 異(다를 이)
    • 뜻: 큰 차이 없이 거의 같음. 대부분 같고 작은 부분만 다름.
    • 활용: "두 의견은 細部(세부) 사항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大同小異하다."
  2. 有名無實 (유명무실)
    • 한자: 有(있을 유), 名(이름 명), 無(없을 무), 實(열매 실/사실 실)
    • 뜻: 이름만 있고 실속이나 내용은 없음.
    • 활용: "그 계획은 예산 부족으로 有名無實해졌다."
    • 신규 한자
      :
      實(열매 실/사실 실)
      - 부수: 宀(갓머리), 뜻: 열매, 내용, 사실, 채우다. 암기 팁: 집(宀)안에 재물(貫 - 꿸 관)이 가득 차 있는 '열매' 또는 '사실'.
  3. 自畫自讚 (자화자찬)
    • 한자: 自(스스로 자), 畫(그림 화), 自(스스로 자), 讚(기릴 찬)
    • 뜻: 자기가 그린 그림을 자기가 칭찬함. 즉, 자기가 한 일을 스스로 자랑함.
    • 활용: "그의 발표는 自畫自讚으로 가득 차 있었다."
    • 신규 한자
      :
      畫(그림 화/그을 획)
      - 부수: 田(밭 전), 뜻: 그림, 그리다/긋다. 암기 팁: 붓(聿)으로 밭(田)과 경계(一)를 '그리다'.
      讚(기릴 찬)
      - 부수: 言(말씀 언), 뜻: 기리다, 칭찬하다, 돕다. 암기 팁: 말(言)로써 두 번(兟 - 나아갈 신)이나 나아가 '기리다'. (讚은 4급 초과 가능성 있으나 유명 사자성어라 포함, 간략히 인지)
  4. 九死一生 (구사일생)
    • 한자: 九(아홉 구), 死(죽을 사), 一(한 일), 生(날 생)
    • 뜻: 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남. 즉,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넘기고 겨우 살아남.
    • 활용: "그는 事故(사고) 현장에서 九死一生으로 구조되었다."
  5. 一石二鳥 (일석이조)
    • 한자: 一(한 일), 石(돌 석), 二(두 이), 鳥(새 조)
    • 뜻: 돌 하나를 던져 새 두 마리를 잡음. 즉,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익을 얻음.
    • 활용: "운동을 하면 건강도 챙기고 스트레스도 해소하니 一石二鳥이다."
  6. 山戰水戰 (산전수전)
    • 한자: 山(뫼 산), 戰(싸울 전), 水(물 수), 戰(싸울 전)
    • 뜻: 산에서의 싸움과 물에서의 싸움. 즉, 세상의 온갖 어려운 일을 다 겪음.
    • 활용: "그는 山戰水戰 다 겪은 베테랑이다."
    • 신규 한자
      :
      戰(싸울 전)
      - 부수: 戈(창 과), 뜻: 싸우다, 전쟁. 암기 팁: 단순하게(單) 창(戈)만 들고 '싸우다'.
  7. 言語道斷 (언어도단)
    • 뜻: 말할 길이 끊어짐. 즉, 어이가 없어서 말이 안 나올 정도임.
    • 한자: 言(말씀 언), 語(말씀 어), 道(길 도), 斷(끊을 단)
    • 활용: "그의 뻔뻔한 거짓말에 言語道斷이었다."
    • 신규 한자
      :
      斷(끊을 단)
      - 부수: 斤(도끼 근), 뜻: 끊다, 결단하다. 암기 팁: 얽힌 실(幺와 쌀 미(米)의 생략형)을 도끼(斤)로 '끊다'.
  8. 春夏秋冬 (춘하추동)
    • 한자: 春(봄 춘), 夏(여름 하), 秋(가을 추), 冬(겨울 동)
    • 뜻: 봄, 여름, 가을, 겨울. 즉, 사계절 또는 한 해.
    • 활용: "春夏秋冬 변함없이 그 자리를 지켰다."
  9. 父子有親 (부자유친)
    • 한자: 父(아비 부), 子(아들 자), 有(있을 유), 親(친할 친)
    • 뜻: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한다. (오륜의 하나)
    • 활용: "父子有親은 가정 윤리의 기본이다."
  10. 夫婦有別 (부부유별)
    • 한자: 夫(지아비 부), 婦(며느리 부/아내 부), 有(있을 유), 別(다를 별/나눌 별)
    • 뜻: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서로의 역할을 존중하고 지킴)이 있어야 한다. (오륜의 하나)
    • 활용: "傳統(전통) 사회에서는 夫婦有別을 강조했다."
    • 신규 한자
      :
      夫(지아비 부)
      - 부수: 大(큰 대), 뜻: 지아비, 남편, 사내. 암기 팁: 하늘(一)처럼 큰(大) 존재인 '남편'.
      婦(며느리 부/아내 부)
      - 부수: 女(계집 녀), 뜻: 며느리, 아내. 암기 팁: 여자(女)가 비(帚 - 비 추)를 들고 집안일을 하는 모습.
      別(다를 별/나눌 별)
      - 부수: 刂(선칼 도 방), 뜻: 다르다, 나누다, 이별하다. 암기 팁: 뼈(冎)에서 칼(刂)로 살을 발라내 '나누다', '다르다'.
  11. 進退兩難 (진퇴양난)
    • 한자: 進(나아갈 진), 退(물러날 퇴), 兩(두 량/양), 難(어려울 난)
    • 뜻: 앞으로 나아가기도 어렵고 뒤로 물러나기도 어려운 매우 곤란한 상황.
    • 활용: "그는 회사를 그만둘 수도, 계속 다닐 수도 없는 進退兩難의 처지에 놓였다."
    • 신규 한자
      :
      兩(두 량/양)
      - 부수: 入(들 입), 뜻: 둘, 양쪽. 암기 팁: 수레 한 채에 두 필의 말이 끄는 모양.
      難(어려울 난)
      - 부수: 隹(새 추), 뜻: 어렵다, 재앙. 암기 팁: 진흙(堇의 변형)에 새(隹)가 빠져 나오기 '어렵다'.
  12. 答辯如流 (답변여류)
    • 뜻: 대답하는 것이 마치 물 흐르듯 거침이 없음.
    • 한자: 答(대답할 답), 辯(말잘할 변), 如(같을 여), 流(흐를 류)
    • 활용: "그는 어떤 질문에도 答辯如流였다."
    • 신규 한자
      :
      辯(말잘할 변)
      - 부수: 辛(매울 신), 뜻: 말 잘하다, 구별하다. 암기 팁: 죄인(辛) 둘이 서로 말(言의 생략)로 따지며 '말 잘함'.
      如(같을 여)
      - 부수: 女(계집 녀), 뜻: 같다, 만약. 암기 팁: 여자(女)의 말(口)은 뜻과 '같다'.
      流(흐를 류)
      - 부수: 氵(물 수 변), 뜻: 흐르다, 흐름. 암기 팁: 물(氵)이 아이(子의 변형)가 거꾸로 선 것처럼 아래로 '흐르다'.
  13. 多才多能 (다재다능)
    • 한자: 多(많을 다), 才(재주 재), 多(많을 다), 能(능할 능)
    • 뜻: 재주도 많고 능력도 많음.
    • 활용: "그녀는 노래, 춤, 연기까지 못하는 것이 없는 多才多能한 연예인이다."
    • 신규 한자
      :
      能(능할 능)
      - 부수: 月(고기 육), 뜻: 능하다, 재능, 곰. 암기 팁: 곰(熊의 원 글자)은 힘이 세고 '능하다'.
  14. 事實無根 (사실무근)
    • 한자: 事(일 사), 實(열매 실), 無(없을 무), 根(뿌리 근)
    • 뜻: 실제 있었던 일에 아무런 근거가 없음.
    • 활용: "그 소문은 全的(전적)으로 事實無根임이 밝혀졌다."
    • 신규 한자
      :
      根(뿌리 근)
      - 부수: 木(나무 목), 뜻: 뿌리, 근본. 암기 팁: 나무(木)가 땅에 발(艮 - 그칠 간, 발을 의미하기도 함)을 딛고 서 있는 '뿌리'.
  15. 四面楚歌 (사면초가)
    • 한자: 四(넉 사), 面(낯 면), 楚(초나라 초), 歌(노래 가)
    • 뜻: 사방에서 초나라의 노래가 들림. 즉, 사방이 모두 적에게 포위되어 고립된 상태.
    • 활용: "會社(회사)는 자금난과 기술 유출로 四面楚歌의 위기에 처했다."
    • 신규 한자
      :
      面(낯 면)
      - 부수: 面(제부수), 뜻: 낯, 얼굴, 쪽. 암기 팁: 사람 얼굴의 윤곽과 눈(目의 변형)을 그린 모양.
      楚(초나라 초/회초리 초)
      - 부수: 木(나무 목), 뜻: 초나라, 회초리, 가시나무. 암기 팁: 숲(林)에서 발(疋)로 가시나무를 헤치며 가는 '초나라'. 또는 가시나무로 만든 '회초리'.
      歌(노래 가)
      - 부수: 欠(하품 흠), 뜻: 노래, 노래하다. 암기 팁: 두 번(哥 - 형 가, 소리)이나 입(欠) 벌려 '노래하다'.

[주요 한자어 독음 및 훈음 연습]
이제 앞에서 배운 한자들로 이루어진 주요 한자어들의 독음과 훈음을 맞혀보는 연습을 해봅시다.
뜻을 생각하며 각 한자의 음과 훈을 정확히 기억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 學校
    (배울 학, 학교 교) -> 학교
  • 敎育
    (가르칠 교, 기를 육) -> 교육
  • 先生
    (먼저 선, 날 생) -> 선생
  • 人間
    (사람 인, 사이 간) -> 인간 (間은 다음 단계 예정)
  • 時間
    (때 시, 사이 간) -> 시간
  • 父母
    (아비 부, 어미 모) -> 부모
  • 兄弟
    (맏 형, 아우 제) -> 형제
  • 山川
    (뫼 산, 내 천) -> 산천
  • 國家
    (나라 국, 집 가) -> 국가
  • 男女
    (사내 남, 계집 녀) -> 남녀
  • 左右
    (왼 좌, 오른 우) -> 좌우
  • 前後
    (앞 전, 뒤 후) -> 전후
  • 出入
    (날 출, 들 입) -> 출입
  • 東西
    (동녘 동, 서녘 서) -> 동서 (東, 西는 1단계 복습)
  • 南北
    (남녘 남, 북녘 북) -> 남북 (南, 北은 1단계 복습)
  • 每日
    (매양 매, 날 일) -> 매일 (每는 다음 단계 예정)
  • 有名
    (있을 유, 이름 명) -> 유명
  • 安心
    (편안 안, 마음 심) -> 안심
  • 活動
    (살 활, 움직일 동) -> 활동 (活은 다음 단계 예정)
  • 社會
    (모일 사, 모일 회) -> 사회
  • 自然
    (스스로 자, 그러할 연) -> 자연
  • 運動
    (옮길 운, 움직일 동) -> 운동
  • 注意
    (부을 주, 뜻 의) -> 주의 (注는 다음 단계 예정)
  • 成功
    (이룰 성, 공 공) -> 성공 (功은 다음 단계 예정)
  • 入口
    (들 입, 입 구) -> 입구

🚀

7단계 학습 마무리 🔗

오늘 7단계에서는 4급 시험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사자성어와 주요 한자어의 독음 및 훈음을 집중적으로 연습했습니다.
8단계에서는 오늘까지 배운 지식을 총동원하여 실제 시험과 유사한 유형의 문제들을 풀어보고, 헷갈리기 쉬운 한자들을 최종적으로 정리하며 시험에 대한 자신감을 다질 예정입니다.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