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4급 시험은 주관처마다 문제 형식이나 배점, 문항 수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응시할 시험 주관처의 최신 기출문제나 예시 문제를 반드시 확인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공통적으로 출제되는 주요 유형과 그에 대한 일반적인 풀이 전략을 안내해 드립니다.
문제 형태
: 한자 또는 한자어가 제시되고, 그 한자(어)의 한글 음을 쓰는 문제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유형이며 배점도 높은 편입니다.
예시
:
- 山 → ( 산 )
- 學生 → ( 학생 )
- 世界 → ( 세계 )
공략법
:
- 평소 한자를 익힐 때
뜻과 함께 소리(음)를 정확히 암기
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 활용 단어를 많이 봐두면, 설령 한 글자의 음이 헷갈리더라도 단어 전체의 음을 통해 유추할 수 있습니다. (예:
敎育
에서 育
의 음만 알아도 교육
일 가능성이 높음)
-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한자(예: 女(녀/여), 年(년/연), 理(리/이) 등)에 주의합니다. 단어의 첫 글자로 오는지 아닌지에 따라 음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
女子
(여자) vs 男女
(남녀))
문제 형태
: 한 글자가 제시되고, 그 한자의 뜻(훈)과 소리(음)를 쓰는 문제입니다.
예시
:
- 日 → ( 날 일 )
- 學 → ( 배울 학 )
- 高 → ( 높을 고 )
공략법
:
- 한자를 외울 때 단순히 음만 외우는 것이 아니라,
대표적인 뜻(훈)과 음을 한 세트로 암기
해야 합니다.
부수를 알면 뜻을 유추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
이 됩니다. (예: 氵(물 수 변)이 들어간 한자는 물과 관련된 뜻일 가능성이 높음)
- 여러 가지 뜻을 가진 한자(다음자, 多義字)의 경우, 4급 수준에서는 가장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훈음을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 長 - 길 장, 어른 장)
유형 3: 주어진 뜻에 맞는 한자 쓰기 (객관식 또는 주관식)
문제 형태
: 한글로 뜻이 주어지고, 그 뜻에 해당하는 한자를 보기에서 고르거나 직접 쓰는 문제입니다. 주관식으로 한자를 써야 한다면 난이도가 높아집니다. (4급 쓰기 배정 한자는 보통 500자 내외로 읽기 한자보다 적습니다. 주관처 확인 필요)
예시
:
- '나무'라는 뜻을 가진 한자는? ① 水 ② 火 ③ 木 ④ 金 → ( ③ )
- '가르치다'는 뜻을 가진 한자를 쓰시오. → ( 敎 ) (주관식의 경우)
공략법
:
- 한자의 훈음을 정확히 암기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 객관식의 경우, 각 보기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고 가장 적합한 것을 고릅니다. 헷갈릴 때는 부수를 통해 뜻을 유추해보세요.
- 주관식 쓰기 문제는 평소 한자의 모양을 정확히 써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3일 과정에서는 빈출 쓰기 한자 위주로 연습)
유형 4: 한자어의 뜻풀이 또는 관계 파악 (반의어, 유의어, 상대어 등)
문제 형태
:
- 제시된 한자어의 뜻을 풀어서 설명한 것을 고르거나 쓰는 문제.
- 두 한자(어)의 의미 관계(반의, 유의, 포함 등)가 나머지와 다른 것을 고르는 문제.
- 제시된 한자와 반대 또는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를 고르거나 쓰는 문제.
예시
:
父母
의 뜻으로 알맞은 것은? ① 스승과 제자 ② 아버지와 아들 ③ 아버지와 어머니 → ( ③ )
- 다음 중 반의 관계가 아닌 것은? ① 大-小 ② 上-下 ③ 問-答 ④ 見-聞 → ( ④ 見-聞은 유의 관계에 가까움)
入
의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 ( 出 )
공략법
:
- 각 한자의 정확한 훈음을 알고 있으면 한자어의 뜻을 유추하기 쉽습니다. (예:
父母
= 아비 부 + 어미 모 = 아버지와 어머니)
- 평소 한자를 학습할 때 유의자나 반의자를 함께 묶어 기억하면 도움이 됩니다. (2, 5, 6단계에서 다룬 내용)
- 헷갈리는 단어는 사전을 찾아 정확한 의미를 파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유형 5: 괄호 안에 알맞은 한자(어) 넣기 (문맥 이해)
문제 형태
: 문장이 제시되고, 문맥상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나 한자어를 보기에서 고르거나 쓰는 문제입니다.
예시
:
- "우리나라의 ( )는 서울이다." ① 首都 ② 都市 ③ 地方 → ( ① )
- "그는 ( 學 )문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괄호 안에 한 글자 넣기)
공략법
:
- 문장 전체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 괄호 앞뒤의 단어와의 관계, 호응 관계를 살펴봅니다.
- 보기로 제시된 한자(어)들의 뜻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 배운 한자들의 활용 단어를 많이 익혀두면 유리합니다.
문제 형태
: 사자성어의 일부 빈칸을 채우거나, 제시된 사자성어의 독음 또는 뜻을 묻는 문제입니다.
예시
:
- 九牛一( 毛 ) (아홉 구, 소 우, 한 일, 털 모)
有名無實
의 뜻은? → ( 이름만 있고 실속은 없음 )
공략법
:
- 7단계에서 배운 주요 사자성어는 한자, 독음, 뜻을 반드시 암기해야 합니다.
- 각 한자의 뜻을 알면 사자성어 전체의 의미를 유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이야기나 유래가 있는 사자성어는 그 내용을 함께 기억하면 더 오래갑니다.
문제 형태
: 제시된 한자의 부수를 쓰거나 고르는 문제, 또는 부수의 명칭이나 의미를 묻는 문제입니다.
예시
:
江
의 부수는 무엇인가? → ( 氵 또는 水 )
- 부수 '木'이 들어간 한자가 나타내는 일반적인 의미는? → ( 나무 또는 나무와 관련된 것 )
공략법
:
- 1단계에서 배운 핵심 부수들은 반드시 암기해야 합니다.
- 새로운 한자를 배울 때마다 그 한자의 부수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부수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부수의 위치(변, 방, 머리 등)와 모양 변화도 눈여겨보세요.
지금까지 배운 한자와 유형 공략법을 바탕으로 몇 가지 예시 문제를 함께 풀어봅시다.
(실제 시험과 동일한 형태는 아니며, 학습을 위한 간단한 예시입니다.)
오늘 8단계에서는 한자 4급 시험에 주로 출제되는 문제 유형들을 살펴보고, 각 유형별 효과적인 풀이 전략을 익혔습니다.
또한, 간단한 예시 문제를 통해 실전 감각을 조금이나마 느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