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leeBlog
sitemap
aboutMe

posting thumbnail
9~7급 어려운 한자 풀이
9~7 grade difficult hanja solution

📅

🚀

들어가기 전에 🔗

이 글은 필자가 느끼기에 한자 자격증의 9급부터 7급까지의 어려운 한자 풀이입니다.
각 한자의 설명, 예시 단어, 유래를 제공합니다. 이 글을 통해 한자의 의미와 유래를 이해하고, 자격증 준비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9급 🔗

사귈 교
사람들이 교차
하는 모습을 나타냄
교제(交際), 교환(交換), 교차(交差)

🚀

8급 🔗

세울 건
붓(聿)을 길게 걷게(廴) 하는 것은?
필기할 때 붓을 길게 걷게 하는 것은
붓을 세운다
는 의미
건립(建立), 건설(建設), 재건(再建)


연고 고
오래(古) 때려서(攵) 밝히는 것
죄인을 오래 때려서
연고를 밝히는 것
연고(緣故: 연관된 이유), 고향(故鄕), 고인(故人)


몸 기
허리 굽히고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몸
의 모습
자기(自己: 자신의 몸), 이기(利己: 이익을 추구함), 극기(克己: 자신을 이김)


홑 단
투석구에서
나가는 돌
하나
단방(單方: 한쪽 방향), 단번(單番: 한 번), 단일(單一: 하나로 통일됨)


보일 시
제물을 제단에 올리는 것은 신에게 제물을
보임
을 나타냄
전시(展示), 표시(表示), 제시(提示)


으뜸 원
제일
우뚝한 것
원수(元帥: 제일 높은 군대의 대장), 원수(元首: 제일 높은 사람), 장원(壯元: 제일 뛰어난 사람)


버금 차
두(二) 번째가 될 흠(欠)이 있는 것
첫 번째인 으뜸에 비해, 두 번째가 될 만한 흠이 있는 것은
버금가는 것
차선(次選: 두 번째로 선택됨), 차석(次席: 두 번째 자리), 차례(次例: 순서)


법칙 칙
재물(貝)을 칼(刂)로 나눌 때 따르는 것:
법칙
법칙(法則: 법과 규칙), 규칙(規則: 정해진 법), 원칙(原則: 근본이 되는 법)


다행 행
한 번(一) 매운 맛(辛)을 보면 깨닳는 것:
다행
행복(幸福: 다행스럽고 기쁜 것), 행운(幸運: 다행스럽고 운이 좋음), 다행(多幸: 다행스럽고 기쁜 것)

🚀

7급 🔗

갈 거
사람(土)이 굴방(厶)을 나가는 모습:
가는 것
거취(去就: 가고 나감), 거래(去來: 가고 오는 것), 과거(過去: 지나간 것)


결단할 결
물(氵)을 터놓는(夬) 것
비가 많이 올 때 둑을 끊어 강물을 마을로 약간 터놓을지 아니면 더 두고 볼지를 고민하다가, 이러다 둑 무너지면 홍수 나겠다 싶어서, 물을 터놓는 것은
결단함
이라고 할 수 있음
결단(決斷: 결정적인 판단을 하거나 단정을 내림), 결정(決定: 결정을 내림), 결심(決心: 마음을 정함)


경사 경
사슴 가죽을 보내서 마음을 표현하는 것은
경사
경사(慶事: 기쁜 일), 경축(慶祝: 기쁜 일을 축하함), 경하(慶賀: 기쁜 일을 축하함)


생각할 고
늙은(耂)이가 공교하게(丂) 하는 것:
생각함
고려(考慮: 마음속으로 따져봄), 사고(思考: 생각함), 숙고(熟考: 깊이 생각함)


함께 공
양손(廾)과 양손(廾)을 모으는 것:
함께
공동(共同: 함께 하는 것), 공조(共助: 함께 돕는 것), 공유(共有: 함께 소유함)


임금 군
다스리는(尹) 말(ㅁ)을 백성에게 하는 이는
임금
군왕(君王: 임금), 군주(君主: 임금), 성군(聖君: 성스러운 임금)


터 기
그(其) 흙(土)으로 만드는 곳은
기초/터
기반(基盤: 기초가 되는 것), 기초(基礎: 기초가 되는 것), 기본(基本: 기초가 되는 것)


재주 재
땅에서 줄기 및 뿌리를 씨앗이 뻗는 것은 씨앗의
재주
이다.
재능(才能: 재주와 능력), 재질(才質: 재주와 성질), 수재(秀才: 뛰어난 재주)


기록할 기
말(言)을 꿇어앉아(己) 쓰는 것을
기록함
이라고 함
기록(記錄: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떠한 사실을 적음), 기술(記述: 기록함), 필기(筆記: 받아 적음)
기록할 기
기록할 기


농사 농
광주리(曲)로 돌을 치워(辰) 농지를 만드는 것은
농사
농사(農事: 논밭을 일궈 곡류나 채소를 기름), 농업(農業: 농사짓는 일), 농촌(農村: 농사짓는 마을)


법도 도
여러 번 손으로 재서 헤아리는 것인 ‘정도’를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무엇을 해도 되는 ‘정도’를 정해놓은 것
인 ‘법도’를 뜻하게 되었습니다.
법도(法度: 법과 규칙), 정도(程度: 어떤 기준에 미치는 정도), 한도(限度: 한정된 정도)


도읍 도
사람(者)이 많은 고을(阝)은
도읍
도읍(都邑: 큰 고을), 도시(都市: 큰 고을), 수도(首都: 도읍의 중심)


무리 등
대(竹)의 마디처럼 관청(寺)에 위아래로 나뉘어 있는 것은 관리들의
무리
등급(等級: 등급을 나누는 것), 동등(同等: 같은 정도), 평등(平等: 차별이 없는 것), 차등(差等: 차별을 두는 것)
무리 등
무리 등


법식 례
사람(亻)에게 벌일(列)때 따르는 것:
법식
예시(例示: 예를 들어 설명함), 사례(事例: 실제로 있었던 일), 전례(前例: 이전의 예)


헤아릴 료
쌀(米)을 말(斗)로 되는 것은 쌀의 양을
헤아리는 것
요량(要量: 필요한 양), 요리(料理: 음식을 만드는 것), 재료(材料)


굳셀 무
창을 들고 발로 걸어다니는 이는
굳센 무사
무사(武士: 무사), 무기(武器: 전투에 쓰는 도구), 무장(武裝: 전투에 쓰는 장비)


놓을 방
방(方)을 치는(攵) 것, 즉 굴방을 연장하여 파는 것은 흙을
밖으로 내놓는 것
방출(放出: 밖으로 내놓음), 추방(追放: 쫓아내어 놓음), 방치(放置: 내버려 둠), 해방(解放: 풀어 놓음)


차례 번
분별한(釆) 쌀을 밭(田)에 뿌릴 때 지키는 것:
차례
순번(番號: 차례 번호), 번호(番號: 차례 번호), 번지(番地: 차례로 나눈 땅의 번호)
차례 번
차례 번


지킬 보
사람(亻)이 어린(呆)아이에게 하는 것:
지킴
보호(保護: 안전하게 지킴), 보존(保存: 원상태를 유지시킴), 보육(保育: 어린아이를 돌봄)


걸음 보
발을 적게 옮기는 것은
걸음
보행(步行: 걸어다님), 진보(進步: 나아감), 퇴보(退步: 뒤로 물러남)


옷 복
몸(月)을 관리하려고 입는 것은
의복(衣服: 옷), 복장(服裝: 옷차림), 복식(服飾: 옷과 장신구)


받들 봉
큰 분에게 손으로 하는 것은
받들어 드림
봉사(奉仕: 받들어 섬김), 봉납(奉納: 바쳐 드림), 봉헌(奉獻: 바쳐 드림)


견줄(비교할) 비
사람(比)과 사람(比)을 비교하는 것:
견줄
비교(比較: 서로 비교함), 비율(比率: 서로 비교하여 비율을 나타냄), 비견(比肩: 서로 견주어 봄)


스승 사
언덕(𠂤)에서 두르는(帀) 이는, 군사들에게 무술 시범을 보이는
스승
이다.
사범(師範: 스승의 본보기), 사제(師弟: 스승과 제자), 교사(教師: 가르치는 사람)
스승 사
스승 사


차례 서
집(广)에서 물을 줄(予) 때 따지는 것:
차례(次例)
서열(序列: 차례를 정함), 서사(敍事: 차례를 정리하여 서술함), 서문(序文: 서두에 붙이는 글), 장유유서(長幼有序: 나이에 따라 차례가 있음)


줄 선
실(糸) 같은 건데 샘, 물줄기(泉)처럼 생긴 것:
선(線路: 줄이 나 있는 길), 선명(鮮明: 줄이 뚜렷함), 선물(線物: 줄로 엮은 물건)


본디 소
누에고치에서 풀어낸 명주실은
본디
의 재료
소재(素材: 본디의 재료), 소원(素願), 소문(素聞), 요소(要素), 원소(元素)


풍속 속
사람(亻)이 골짜기(谷)에서 살면 생기는 것:
풍속
풍속(風俗: 풍속), 속담(俗談: 민간에서 전해오는 말), 속박(束縛: 묶어 놓음)


처음 시, 비로소 시
여자(女)가 태아(台)를 배는 것은 태아 인생의
처음
시작(始作), 시초(始初), 개시(開始), 창시(創始)


시 시
말(言)인데 관청(寺)에서 관원들이 운(韻)을 넣어 하는 것은
시가(詩歌: 시와 노래), 시문(詩文: 시와 문장), 시인(詩人: 시를 짓는 사람)


믿을 신
사람(亻)이 말(言)을 지키는 것은
믿음
신뢰(信賴: 믿고 의지함), 신용(信用: 믿고 의지함), 신념(信念: 믿음과 생각)


열매 실
집(宀)에 걸어놓는 꿰미(貫)는 것은
열매
실제(實際: 실제로 존재함), 실현(實現: 실제로 이루어짐), 실체(實體: 실제로 존재하는 것)


들 야
마을(里)에 먹을 거리를 주는(予) 곳:
야생(野生: 자연에서 자생함), 야경(夜景: 밤의 경치), 야구(野球: 들에서 하는 공놀이)


맺을 약
실(糸)을 싸서(勹) 매듭(丶)을 만드는 것:
약속
약속(約束), 계약(契約), 약정(約定)


두 량
천칭을 형상화한 것으로, 천칭의 팔은
두 개
이다.
양쪽(兩側: 양쪽), 양자(兩者: 두 개), 양립(兩立: 두 개가 함께 존재함), 양팔(兩腕: 두 개의 팔)
두 량
두 량


더울 열
심어진(埶) 불(灬)이 내는 것:
더위
열기(熱氣: 더운 기운), 열대(熱帶: 더운 지방), 열정(熱情: 뜨거운 정)


글자 자
집(宀)에서 아이(子)가 익히는 것:
글자
문자(文字: 글자), 한자(漢字: 한자의 글자)


지을 작
사람(亻)이 잠깐(乍) 사이에 하는 것:
짓는 것
작품(作品: 지은 것), 작용(作用: 작용함), 창작(創作: 새로 지음)


재목 재
나무(木)인데 재주(才)껏 쓰는 것:
재목
재료(材料: 재료), 자재(資材: 자재), 원자재(原材料: 원래의 재료)


재물 재
재물(貝)인데 재주(才)껏 얻는 것:
재물
재산(財産: 재물), 재정(財政: 재물의 정리), 재무(財務: 재물의 관리)


다툴 쟁
손으로 남의 손에 들린 물건을 빼앗으려 하는 것은
다툼
쟁탈(爭奪), 쟁론(爭論), 쟁의(爭議)


펼 전
몸(尸)을 굽히고 양손으로 위쪽과 왼쪽이 접힌 옷에 하는 것은 옷을
펴는 것
전개(展開: 펼쳐서 전개함), 전시(展示: 펼쳐서 보임), 전람(展覽: 펼쳐서 보여줌)


뜰 정, 마당 정
집(广)에서 조정(廷)같이 꾸며놓는 곳은
정원(庭園: 뜰과 정원), 정정(庭亭: 뜰과 정자), 가정(家庭: 집과 뜰), 교정(校庭: 학교의 뜰)


다스릴 정, 정사 정
바름(正)을 구현하려고 범죄자를 때리는(攵) 것:
다스림
정치(政治: 다스림), 정권(政權: 다스리는 권력), 정사(政事: 정사)
다스릴 정
다스릴 정


임금 제
꽃(帝) 같이 아름답고 고귀한 분은
임금
제왕(帝王: 임금), 제후(諸侯: 여러 임금), 제정(帝政: 임금이 다스림)


종자 종, 씨앗 종
곡물(禾) 중 무거운(重) 것을
종자
라고 한다.
종자(種子: 씨앗), 종족(種族: 씨앗의 종류), 품종(品種)


살 주
사람(亻)이 등불(主) 켜놓고 하는 것:
살고 있음
주거(住居: 사는 곳), 주택(住宅: 사는 집), 주거지(住居地: 사는 곳)


부을 주
액체(氵)를 등불(主)에 넣는 것:
부음
주석(注釋: 주를 달아 설명함), 주의(注意: 주의 깊게 살펴봄), 주입(注入: 액체를 부음)


그칠 지
발(止)이 그냥 있는 것:
그침
정지(停止: 멈추거나 그침), 중지(中止: 중간에 그침), 금지(禁止: 하지 못하게 막음)


바탕 질
모탕(斦)처럼 재물(貝)을 밑받침하는 것:
바탕
본질(本質: 본래의 바탕), 품질(品質: 물건의 바탕)


채울 충
태아를 사람(儿)이 배는 것은 태아로 배 속을
채움
충원(充員: 사람을 채움), 충전(充電: 전기를 채움), 충족(充足: 충분히 채움)


평평할 평
저울(平)의 상태는
평평함
평화(平和: 평화롭고 조화로움), 평등(平等: 차별이 없음), 평범(平凡: 보통)


벼(禾)가 해(日)에 익을 때 나는 것:
향기
향기(香氣: 향기), 향수(香水: 향기 나는 물), 향연(饗宴: 향기 나는 잔치)


화할 화, 화목할 화화
사람(口)이 곡식(禾)을 나누는 것:
화합
화합(和合: 화합함), 화해(和解: 화해함), 화목(和睦: 화목함)

🚀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