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leeBlog
sitemap
aboutMe

posting thumbnail
6급 어려운 한자 풀이
6 grade difficult hanja solution

📅

🚀

🔗

옳을 가
可자는 곡괭이와 口(입 구)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말을 허락
한다는 뜻이다.
가결(可決), 가능(可能: 할 수 있음), 허가(許可: 허락함)


맺을 결
糸(가는 실 사)자와 吉(길할 길)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실을 맺는다
는 뜻이다. 실을 맺는다는 것은
결혼
이나
결실
을 의미한다.
결혼(結婚), 결실(結實: 열매를 맺음), 결론(結論: 맺은 결론)


공경할 경
苟(진실로 구)자와 攵(칠 복)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苟자는 귀를 쫑긋 세우고 있는 개를 그린 것으로
참되다, 공경하다
라는 뜻을 갖고 있다.
경의(敬意: 공경하는 마음), 경청(敬聽: 공경하여 듣다), 경비(警備: 조심하여 지킴)


공부할 과
言(말씀 언)자와 果(열매 과)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글공부(言)를 열심히 하여 결실(果)을 맺는다
는 뜻이다.
부과(賦課: 세금을 부과함), 과제(課題: 맡겨진 일), 과정(課程)


볼 관
雚(황새 관)자와 見(볼 견)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나무 위에 올라가 있는 황새처럼
높이 올라가서 바라본다
는 뜻이다.
관찰(觀察: 바라보고 살펴봄), 관상(觀相: 얼굴을 보고 사람의 운명을 점침), 관념(觀念: 생각이나 느낌)


넓을 광
广(집 엄)자와 黃(누를 황)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황제를 뜻하는 黃자에 广자를 결합해 황제가 살법한
크고 넓은 대청
을 뜻한다.
광장(廣場: 넓은 마당), 광범위(廣範圍: 넓고 범위가 큼), 광대(廣大: 크고 넓음)


기약할 기
其(그 기)자와 月(달 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其자는 ‘그’나 ‘그것’이라는 뜻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달이 변하는 것을 보고 시간의 흐름을 알았다고 한다. 그래서
기약하다
는 뜻이 생겼다.
기한(期限: 정해진 시간), 기대(期待: 기대함), 일기일회(一期一會: 한 번 만난 인연은 다시 없다는 뜻으로,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의미)


길할 길
士(선비 사)자와 口(입 구)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선비가 입을 열어 길한 소식을 전한다
는 뜻이다.
길상(吉祥: 길하고 상서로움), 길조(吉兆: 길한 조짐), 길흉(吉凶: 길함과 흉함)

🚀

🔗

생각할 념
心(마음 심)자와 今(이제 금)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지금 마음속에 있는 생각
이라는 뜻이다.
념원(念願: 마음속에 바람), 사념(思念: 생각함)

🚀

🔗

통달할 달
辶(쉬엄쉬엄 갈 착)자와 羍(어린 양 달)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양을 몰고 다닐 정도로
막힘이 없다
는 뜻이다.
달성(達成: 목표를 이루다), 도달(到達: 목적지에 이르다), 통달(通達: 사물의 이치를 꿰뚫어 알다)


言(말씀 언)자와 炎(불탈 염)자가 결합한 것이기 때문에
열정적으로 말하다
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담화(談話: 대화), 담배(談輩: 친구), 담론(談論: 이야기함)


덕 덕, 클 덕
彳(조금 걸을 척)자와 直(곧을 직)자, 心(마음 심)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곧은 마음으로 길을 걷는 사는 사람
이 된다는 뜻이다.
덕행(德行: 덕과 행실), 덕망(德望: 덕과 명망), 덕성(德性: 덕스러운 성품)


이를 도
至(이를 지)자와 刀(칼 도)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땅에 화살이 꽂힌 모습을 그린 것으로
어떠한 장소에 다다르다
라는 뜻을 갖고 있다.
도착(到着: 도달하여 이르다), 도달(到達: 목적지에 이르다), 독서삼도(讀書三到: 독서의 세 가지 방법으로, 눈으로 읽고, 입으로 읽고, 마음으로 읽는 것)


골 동, 밝을 통
水(물 수)자와 同(같을 동)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사람들이 하천을 중심으로
한데 모여 산다
는 의미이다.
동굴(洞窟: 물이 흐르는 동굴), 동산(洞山: 물이 흐르는 산), 동동촉촉(洞洞屬屬: 매우 공경(恭敬)하고 삼가하여 조심(操心)스러운 모양(模樣))

🚀

🔗

나그네 려(여)
㫃(나부낄 언)자와 从(좇을 종)자가 결합한 것으로, 전쟁을 위해 오랜 기간
집을 떠나 객지 생활
을 했던 사람을 그린 것이다.
여행(旅行: 길을 떠남), 여관(旅館: 나그네를 맞아들이는 집), 여정(旅程: 여행의 과정)
나그네 려(여)
나그네 려(여)


예도 례
示(보일 시)자와 豊(예도 례)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豊자는
그릇에 곡식이 가득 담겨있는 모습
을 그린 것으로
예도
라는 뜻을 갖고 있다.
예의(禮儀: 예를 갖춘 행동), 예절(禮節: 예의와 절차), 예배(禮拜: 공경하여 절함)


논할 론
言(말씀 언)자와 侖(둥글 륜)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말을 서로 주고받는다는 의미
는 뜻이다.
논리(論理: 이치), 논쟁(論爭: 서로 논의함), 논문(論文: 학술적인 글)


법률 률
彳(조금 걸을 척)자와 聿(붓 율)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법령을 만들어 널리 공포한다
는 뜻이다.
법률(法律: 법의 규정), 율동(律動: 리듬에 맞추어 움직임), 율격(律格: 시가의 형식)


다스릴 리
玉(구슬 옥)자와 里(마을 리)가 결합한 모습으로, 단단한 옥을 깎아 무늬를 새겨 넣는 작업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처리한다
는 뜻이 생겼다.
이해(理解: 이해함), 이론(理論: 이치와 논리), 이성(理性: 사물의 이치를 아는 능력)


나눌 별, 다를 별
另(헤어질 령)자와 刀(칼 도)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칼로 나누어 떨어지게 한다
는 뜻이다.
별도(別途: 따로), 별명(別名: 다른 이름), 이별(離別: 헤어짐)


갚을 보, 빨리 부
執(잡을 집)자와 又(또 우)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수갑을 찬 죄수가
죄를 갚는다
는 뜻이다.
보답(報答: 보답함), 보상(報償: 보상함), 보복(報復: 원수를 갚음)


부유할 부
宀(집 면)자와 畐(가득할 복)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항아리에 술이나 물건이 가득 차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부유하다
는 뜻이 생겼다.
부유(富裕: 재산이 많음), 부자(富者: 재산이 많은 사람), 부귀(富貴: 재산과 지위가 높음)


회복할 복, 다시 부
彳(조금 걸을 척)자와 复(갈 복)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다시 돌아온다
는 뜻이다.
회복(回復: 회복함), 복구(復舊: 원래 상태로 되돌림), 복귀(復歸: 돌아옴)


준비할 비, 갖출 비
人(사람 인)자와 用(쓸 용)자, 矢(화살 시)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화살집에 화살이 담겨있다는 것은 이미
전쟁준비를 마쳤다
는 뜻이다.
비상(備常: 평소에 준비함), 비축(備蓄: 미리 준비하여 쌓아둠)

🚀

🔗

섬길 사
人(사람 인)자와 士(선비 사)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임금을 모시던 관리
를 그린 것이다.
출사(出仕: 관직에 나감), 봉사(奉仕: 남을 위해 봉사함)


셈 산
竹(대나무 죽)자와 目(눈 목)자, 廾(받들 공)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대나무로 만든 계산기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셈을 하다
라는 뜻이 생겼다.
산수(算數: 수를 세는 것), 계산(計算: 셈을 하다), 산출(算出: 계산하여 내다)


자리 석
广(집 엄)자와 廿(스물 입)자, 巾(수건 건)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그늘진 곳에 자리를 깔고 앉는다는 것
이다.
자리(席次: 자리의 차례), 좌석(座席: 앉는 자리)


가릴 선, 셀 산
辶(쉬엄쉬엄 갈 착)자와 巽(유순할 손)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누구를 보낼 것인지를 놓고 선택한다
는 뜻이다.
선택(選擇: 고르다), 선거(選擧: 선출함), 선발(選拔: 뽑아냄)


베풀 설, 세울 설
言(말씀 언)자과 殳(몽둥이 수)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전쟁이나 사냥에서 획득한 물건을 늘여놓고 잔치를 벌인다
는 뜻이다.
설계(設計: 계획을 세움), 설비(設備: 준비하여 갖춤), 설문(設問: 질문을 만듦)


살필 성
少(적을 소)자와 目(눈 목)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초목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
이다. 그래서
살피다
라는 뜻이 생겼다.
성찰(省察: 깊이 생각함)


정성 성
言(말씀 언)자와 成(이룰 성)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말을 갖추다
,
말을 참되게 하다
는 뜻이다.
정성(誠意: 진실한 마음), 성심(誠心: 진실한 마음), 성의(誠意: 진실한 마음)


해 세
戉(도끼 월)자와 步(걸음 보)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창(戌)을 들고 싸우면서 보낸(步) 시간
을 그린 것이다.
세월(歲月: 해와 달)


씻을 세
水(물 수)자와 先(먼저 선)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발을 씻는다는 뜻을 표현한 것
이다.
세탁(洗濯: 세탁하다), 세정(洗淨: 씻어 깨끗하게 함), 세수(洗手: 손을 씻음)


손자 손
子(아들 자)자와 系(이을 계)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아들이 이어지다
는 뜻이다.
손자(孫子: 아들의 아들), 손녀(孫女: 아들의 딸), 손주(孫子: 아들의 아들)


받을 수
爫(손톱 조)자와 冖(덮을 멱)자, 又(또 우)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물건을 건네주거나 받는 모습을 표현한 것
이다.
수용(受容: 받아들임), 수익(受益: 이익을 받음)


지킬 수
宀(집 면)자와 手(손 수)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집을 지키는 사람
을 그린 것이다.
수호(守護: 지킴), 수비(守備: 방어함), 수칙(守則: 지켜야 할 규칙)


거둘 수
丩(얽힐 구)자와 攵(칠 복)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손으로 물건을 거두어들인다
는 뜻이다.
수확(收穫: 거두어들임), 수입(收入: 들어옴), 수거(收去: 거두어 감)


순할 순
川(내 천)자와 頁(머리 혈)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물의 흐름을 따라간다
는 뜻이다.
순서(順序: 차례), 순응(順應: 따름), 순조(順調: 일이 잘 진행됨)


옳을 시
日(해 일)자와 正(바를 정)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태양은 일정한 주기로 뜨고 진다는 의미에서
올바르다
옳다
라는 뜻을 가지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시비(是非: 옳고 그름), 시정(是正: 바르게 고침)


법 식
弋(주살 익)자와 工(장인 공)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장인의 규칙이라는 의미에서
법식
이나
제도
,
의식
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법식(法式: 법의 규칙), 양식(樣式: 모양과 형식), 의식(儀式: 의식)

🚀

🔗

햇볕 양
阜(阝:언덕 부)자와 昜(볕 양)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태양이 제단과 주변을 밝게 비추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햇볕
이라는 뜻이 생겼다.
양지(陽地: 볕이 드는 곳), 양식(陽式: 양식), 양자(陽子: 양성자)


길 영, 읊을 영
물줄기가 멀리 뻗어 나간다는 의미에서
길다
멀다
라는 뜻을 갖고 있다.
영원(永遠: 영원히), 영구(永久: 오랫동안), 영속(永續: 계속 이어짐)


은혜 은
因(인할 인)자와 心(마음 심)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의지(因)가 되는 마음(心)*이라는 뜻이다.
은혜(恩惠: 은혜), 은총(恩寵: 은혜와 사랑), 은사(恩賜: 은혜로 주는 것)


응할 응
䧹(매 응)자와 心(마음 심)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매가 내 요구에 응답하듯이
상대방이 나의 요구에 응해 준다
는 뜻이다.
응답(應答: 대답함), 응용(應用: 활용함), 응모(應募: 지원함)


의로울 의, 옳을 의
羊(양 양)자와 我(나 아)자가 결합한 모습이며, 양 장식은 종족 내부를 결속하기 위한 권력자들의 역할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의로움
이라는 뜻이 생겼다.
의리(義理: 의리), 의무(義務: 마땅히 해야 할 일)


의논할 의
言(말씀 언)자와 義(옳을 의)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신에게 올바른 것을 묻는다는 뜻
이다.
의회(議會: 의논하는 모임), 의사(議事: 의논함), 의결(議決: 의논하여 결정함)


옮길 의
禾(벼 화)자와 多(많을 다)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모판을 옮겨 모내기한다
는 뜻이다.
의미(意味: 뜻), 의식(意識: 의식함), 의도(意圖: 마음속에 품은 생각)

🚀

🔗

다시 재, 두 재
물고기가 반복적으로 왔다 갔다 한다는 의미에서
다시
라는 뜻이 생겼다.
재생(再生: 다시 태어남), 재개(再開: 다시 열다), 재발(再發: 다시 발생함)


전할 전
人(사람 인)자와 專(오로지 전)자가 결합한 모습이고, 專자는 방추(紡錘)에 감긴 실을 돌리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사람이 실을 전한다
는 뜻이다.
전달(傳達: 전하여 줌), 전통(傳統: 대대로 전해 내려옴), 전파(傳播: 널리 퍼짐)


이을 접, 빠를 첩
手(손 수)자와 妾(첩 첩)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여종은 일도 많이 하지만 사람도 많이 접한다는 의미에서
접촉하다
대접하다
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접속(接續: 이어짐), 접촉(接觸: 서로 닿음), 접수(接收: 받아들임)


調
고를 조
言(말씀 언)자와 周(두루 주)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말이)친밀하다
조화롭다
는 뜻이다.
조정(調整: 조정함), 조화(調和: 조화로움), 조율(調律: 조정하여 맞춤)


마루 종
‘마루’란 어떤 일의 기준이 된다는 뜻이다. 이는 ‘으뜸’이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宀(집 면)자와 示(보일 시)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집
을 그린 것이다.
종교(宗敎: 신을 섬기는 교리), 종파(宗派: 종교의 갈래), 종통(宗統: 대를 이어가는 것)


뜻 지
志자는 士(선비 사)자와 心(마음 심)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자기 뜻을 실천한다
이라는 뜻이다.
지향(志向: 뜻을 향함)


이를 지
화살을 그린 矢(화살 시)자가 땅에 꽂힌 모습이며, 대상이 어떠한 목표지점에 도달했다는 의미에서
이르다
라는 뜻이 생겼다.
지극(至極: 극에 이르다), 지독(至毒: 극히 독하다)


나아갈 진
辶(쉬엄쉬엄 갈 착)자와 隹(새 추)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새가 나아간다
는 뜻이다.
진행(進行: 나아감), 진출(進出: 나아가서 나옴), 진전(進展: 나아가서 발전함)

🚀

🔗

살필 찰
宀(집 면)자와 祭(제사 제)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제사를 지내기에 앞서 빠진 것이 없는지 두루 살펴본다는 의미에서
살피다
라는 뜻이 생겼다.
관찰(觀察: 살펴봄), 감찰(監察: 살펴봄), 통찰(通察: 꿰뚫어 살펴봄)


빌 축
제단(示)에서 형(兄)이 하는 것은
제사를 지내는 것
이다. 그래서
빌다
라는 뜻이 생겼다.
축원(祝願: 기원함), 축복(祝福: 복을 빌어줌), 축제(祝祭: 제사를 지냄)


가질 취
耳(귀 이)자와 又(또 우)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손으로 귀를 잘라 ‘얻었다’라는 데서 유래한 글자이다. 그래서
얻다
라는 뜻이 생겼다.
취득(取得: 얻음), 취향(取向: 취하는 방향), 취소(取消: 없애다)


다스릴 치
水(물 수)자와 台(별 태)자가 결합한 모습이며, 물을 다스려 백성들을 먹여 살린다는 의미에서
다스리다
라는 뜻이 생겼다.
치료(治療: 병을 고침), 정치(政治: 정치를 다스림), 치세(治世: 나라를 다스리는 시대)


이를 치, 빽빽할 치
至(이를 지)자와 攵(칠 복)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발걸음이 어느 지점에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그래서
어떤 상태에 이르다
라는 뜻이 생겼다.
송치(送致: 보내다), 이치(理致: 이치에 맞다), 극치(極致: 극에 다다름)


친할 친
立(설 립)자와 木(나무 목)자, 見(볼 견)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눈앞에 보이는 아주 가까운 사람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가까운 사람
이라는 뜻이 생겼다.
친척(親戚: 가까운 친척), 친절(親切: 친절함), 친화(親和: 친하게 지냄)

🚀

🔗

거느릴 통
糸(가는 실 사)자와 充(찰 충)자가 결합한 모습이며, 실의 첫머리가 다른 실의 앞에 놓여있다 하여
계통
이나
거느리다
라는 뜻이 생겼다.
통합(統合: 통합함), 통일(統一: 통일함), 통치(統治: 다스림)


특별할 특, 수컷 특
牛(소 우)자와 寺(절 사)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관청에서 제사에 사용하던 특별한 수소라는 의미에서
특별하다
라는 뜻이 생겼다.
특별(特別: 특별함), 특성(特性: 특별한 성질), 특권(特權: 특별한 권리)

🚀

🔗

물결 파
水(물 수)자와 皮(가죽 피)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물이 가죽을 덮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물결
이라는 뜻이 생겼다.
파도(波濤: 물결), 파장(波長: 물결의 길이), 파문(波紋: 물결의 무늬)


풍성할 풍, 풍년 풍
음식(曲)을 제기(豆)에 쌓아놓은 모양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풍성하다
라는 뜻이 생겼다.
풍부(豊富: 풍부함), 풍요(豊饒: 풍요로움), 풍작(豐作: 곡식이 많이 익음)


붓 필
竹(대나무 죽)자와 聿(붓 율)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대나무로 만든 붓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이라는 뜻이 생겼다.
필기(筆記: 글을 씀), 필사(筆寫: 붓으로 씀)

🚀

🔗

풀 해
角(뿔 각)자와 刀(칼 도)자, 牛(소 우)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소의 뿔을 잘라서 풀어주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풀다
라는 뜻이 생겼다.
해결(解決: 풀다), 해소(解消: 풀다), 해명(解明: 풀어 밝힘)


시골 향
사람을 초대해 ‘잔치를 한다.’라는 뜻으로 만들어졌지만, 후에 정감이 넘치는 마을이란 뜻이 파생되면서
고향
을 뜻하게 되었다
고향(故鄕: 고향), 향수(鄕愁: 고향을 그리워함), 향토(鄕土: 고향)


은혜 혜
心(마음 심)자와 專(오로지 전)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실을 푸는 모습을 선한 마음을 베푸는 것에 비유한 글자이다. 그래서
은혜를 베풀다
라는 뜻이 생겼다.
혜택(惠澤: 은혜)


본받을 효
交(사귈 교)자와 攵(칠 복)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훈육을 통해 어떠한 대상을 본받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본받다
라는 뜻이 생겼다.
효과(效果: 효과), 효율(效率: 효율), 효능(效能: 본받아 나타나는 능력)


가르칠 훈
言(말씀 언)자와 川(내 천)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물이 흐르듯이 조리 있게 얘기한다는 의미에서
가르치다
라는 뜻이 생겼다.
훈련(訓練: 훈련함), 훈육(訓育: 가르침), 훈장(訓長: 가르치는 사람)


일 흥
舁(마주들 여)자와 同(한 가지 동)자가 결합한 모습이며, 나라의 부흥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일어나다
라는 뜻이 생겼다.
흥미(興味: 흥미), 흥행(興行: 흥행함), 흥분(興奮: 흥분함)


바랄 희
巾(수건 건)자와 爻(효 효)자가 결합한 모습으로, 비싼 천을 가지고 싶은 마음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바라다
라는 뜻이 생겼다.
희망(希望: 바람), 희망(希望: 바람)

🚀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