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leeBlog
sitemapaboutMe

posting thumbnail
혼잡 제어의 원칙
Principles of congestion control

📅 2024년 06월 15일

🚀

혼잡 제어의 원칙 (Principles of Congestion Control)🔗

네트워크가 처리할 수 있는 것보다 너무 많은 소스에서 너무 빠르게 데이터를 보냄
흐름 제어
와는 다름!
현상
  1. 분실된 패킷
    : 많은 데이터 패킷이 동시에 네트워크로 전송될 때, 라우터의 버퍼 용량이 초과되어 일부 패킷이 분실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며, 통신 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2. 긴 지연 시간
    :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라우터의 처리 용량을 초과할 경우, 패킷은 큐에서 대기해야 하며 이로 인해 전송 지연이 발생한다.

Q. 혼잡을 감지하는 방법은?
Q. 혼잡이 감지되었을 때의 대응 방법은?

🚀

혼잡의 원인 및 비용: 시나리오 1 (Causes and Costs of Congestion: Scenario 1)🔗

조건
결과
image

🚀

혼잡의 원인 및 비용: 시나리오 2 (Causes and Costs of Congestion: Scenario 2)🔗

하나의 라우터,
유한
버퍼
발신자는 시간 초과된 패킷을 재전송한다.

시나리오 2-1 (Scenario 2-1)🔗

이상적인 네트워크 상황 - 발신자가 라우터의 버퍼 상태에 대한 완벽한 지식을 가짐
image

시나리오 2-2 (Scenario 2-2)🔗

이상적인 네트워크 상황 - 라우터가 패킷 손실을 알리는 경우
image
R/2로 전송할 때, 일부 패킷은 재전송된 것이지만, 비대칭적 굿풋은 여전히 R/2이다
이는 네트워크가 혼잡 상황에서도 일정한 굿풋을 유지하는 메커니즘 때문이다.

시나리오 2-3 (Scenario 2-3)🔗

현실적 네트워크 상황 - 중복 발생 가능
image
R/2로 전송할 때, 일부 패킷은 재전송된 것인데, 여기에는 전달된 중복 패킷도 포함된다
➡️

혼잡 비용 (Costs of Congestion)🔗

더 많은 작업
: 네트워크 혼잡 상황에서 패킷 손실이 발생하면 송신자는 이를 재전송해야 한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는 추가적인 작업을 처리해야 하며, 이는 네트워크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을 의미한다.
불필요한 재전송
: 송신자가 조기에 타임아웃되어 동일한 패킷을 여러 번 전송하게 되면, 네트워크 링크는 이러한 중복 패킷을 처리하게 된다. 이는 링크의 대역폭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굿풋 감소
: 중복 패킷의 증가로 인해 실제 유효 전송률, 즉 굿풋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네트워크의 전체 성능을 저하시킨다.

🚀

시나리오 3 (Scenario 3)🔗

조건
Q. λin\lambda_{in}λin\lambda'_{in}이 증가함에 따라 어떤 일이 발생하는가?
A. λin\lambda'_{in}이 증가함에 따라 상단 큐에 도착하는 모든 추가 전송 패킷이 드롭되고, 그 처리량은 거의 0에 가까워진다.
➡️

또 다른 혼잡 비용 (Another Cost of Congestion)🔗

패킷 손실
: 네트워크 혼잡 상황에서 라우터의 버퍼가 포화되면, 일부 패킷은 드롭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며, 통신 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