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leeBlog
sitemap
aboutMe

posting thumbnail
무경쟁 프로토콜
Contention-Free Protocols

📅

🚀

주파수 분할 다중 접근 방식: FDMA 개요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FDMA Overview) 🔗

주파수 분할 다중 접근 방식: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
상당한 보호 대역이 필요함: 주파수 간 간섭을 줄이기 위해 → 비효율적
모든 1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됨

🚀

시간 분할 다중 접근 방식: TDMA 개요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TDMA Overview) 🔗

시간 분할 다중 접근 방식: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시간 슬롯을 할당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므로 주파수 간 간섭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
대부분의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됨

🚀

FDMA와 TDMA의 결합 (Combination of FDMA and TDMA) 🔗

각 채널이 일정 시간 동안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는 방식
image
장점
단점

🚀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코드를 할당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
송신기는 데이터를 특정 코드로 변조하여 사용 → 수신기는 같은 코드로 복조하여 데이터를 복원
image
서로 직교하는 코드 시퀀스를 사용하여 대역폭 공유
일부 2세대, 대부분의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됨

🚀

채널 유형 (Channel Types) 🔗

제어 채널
트래픽 채널

🚀
주파수 분할 이중화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시간 분할 이중화
(TDD, Time Division Duplexing)

🚀

FDMA에서의 이중화 (Duplexing in FDMA) 🔗

업링크(UL)와 다운링크(DL)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방식

채널 구조 (Channel Structure) 🔗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의 채널로 분할하여 사용

🚀

TDMA에서의 이중화 (Duplexing in TDMA) 🔗

업링크(UL)와 다운링크(DL)가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방식

채널 구조 (Channel Structure) 🔗

시간을 여러 개의 slot으로 분할하여 사용

🚀

CDMA에서의 이중화 (Duplexing in CDMA) 🔗

FHSS 방식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 FHSS) 🔗

image

DSSS 방식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 DSSS) 🔗

양 극성 표기로 맵핑된 데이터를 전송
Aˉ\bar{A}: AA의 반대 극성
두 개의 다른 스테이션(S,T\mathbf{S},\mathbf{T})에서의 시퀀스는 정규 직교이다.
같은 시퀀스 AAAˉ\bar{A}는 다음을 만족.
각 비트 시간동안
두 개 이상의 스테이션이 동시에 전송할 때, 그 양극성 신호는 선형적으로 합산됨.
image
수신 스테이션(SiS_i)은 다음을 계산하여 데이터를 복원.(여기서, m = 8)
예를 들어, S=A+Bˉ+CS = A + \bar{B} + C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