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leeBlog
sitemap
aboutMe

posting thumbnail
성공과 실패에서 배우는 실제 애자일과 반복 개발 이야기
Learning from Successes and Failures Real-World Agile and Iterative Cases

📅

🚀

들어가기 전에 🔗

지난 시간에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반복적 개발 방식과 애자일 개발의 핵심 원칙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방법론들이 실제 현장에서는 어떻게 적용되고,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까요?

오늘은 실제 팀이나 기업에서 애자일과 반복 개발 방법론, 특히
스크럼(Scrum)
,
XP(Extreme Programming)
,
칸반(Kanban)
등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
실제 사례
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성공적인 도입 사례뿐만 아니라, 때로는 어려움을 겪거나 실패한 사례를 통해서도 우리는 값진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애자일 방법론 간단히 훑어보기 🔗

본격적인 사례를 살펴보기 전에, 자주 언급되는 대표적인 애자일 방법론들의 핵심 특징을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각 방법론은 고유한 실천법(Practice)과 역할을 가지고 있지만, 모두 애자일 선언의 가치와 원칙을 공유합니다.

스크럼 (Scrum): 정해진 규칙과 역할로 협업 극대화 🔗

스크럼은 애자일 개발 방법론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레임워크 중 하나입니다.
럭비 경기에서 스크럼을 짜듯, 팀원들이 긴밀하게 협력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Scrum
Scrum

XP (Extreme Programming): 기술적 탁월함과 품질 강조 🔗

XP는 개발자 중심의 실천법들을 통해 소프트웨어 품질을 극한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애자일 방법론입니다.
고객과의 긴밀한 협력과 변화에 대한 빠른 대응을 중요시합니다.
XP
XP

칸반 (Kanban): 흐름 시각화와 작업량 제한으로 효율성 증대 🔗

칸반은 원래 도요타 생산 시스템에서 유래한 방식으로, 작업 흐름을 시각화하고 진행 중인 작업(Work In Progress, WIP)의 양을 제한하여 병목 현상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스크럼처럼 정해진 반복 주기가 필수는 아니며, 기존 프로세스에 점진적으로 적용하기 용이합니다.
Kanban
Kanban

🚀

실제 팀/기업에서의 애자일 및 반복 개발 도입 사례 🔗

이론은 훌륭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이러한 방법론들이 어떻게 적용되고 어떤 결과를 가져올까요?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 모두에서 배울 점이 있습니다.

성공 사례에서 배우는 교훈 🔗

➡️

사례 1: 스포티파이 (Spotify) - "스쿼드, 트라이브, 챕터, 길드" 모델 🔗

세계적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스포티파이는 애자일 원칙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조직 운영 모델을 만들어 성공적으로 적용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들은 전통적인 부서 구조 대신, 작은 애자일 팀인
스쿼드(Squad)
를 기본 단위로 운영합니다.
여러 스쿼드가 모여 큰 기능 영역을 담당하는
트라이브(Tribe)
를 이루고, 같은 기술 스택이나 관심사를 가진 스쿼드 멤버들은
챕터(Chapter)
길드(Guild)
를 통해 지식을 공유하고 성장합니다.
➡️

사례 2: ING 은행 네덜란드 - 대규모 애자일 전환 🔗

거대한 금융 조직인 ING 은행 네덜란드는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고객 중심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애자일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
그들은 스포티파이 모델에서 영감을 받아, 기능 중심의 사일로(Silo) 조직을 해체하고 고객 여정(Customer Journey) 중심의 다기능 팀(Squad)으로 재편했습니다.

실패 또는 어려움을 겪는 사례에서 배우는 교훈 🔗

애자일 도입이 항상 성공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때로는 기대와 다른 결과를 낳거나 어려움에 직면하기도 합니다.
➡️

사례 1: "좀비 스크럼" 또는 "가짜 애자일 (Fake Agile)" 🔗

팀이 스크럼의 이벤트(데일리 스크럼, 스프린트 계획 등)는 형식적으로 따르지만, 애자일의 핵심 가치와 원칙(예: 자기 조직화, 고객과의 협력, 변화 대응)은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마치 좀비처럼 겉모습만 애자일일 뿐, 실제로는 과거의 방식으로 일하는 것입니다.
➡️

사례 2: 기술적 준비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

애자일은 빠른 반복과 잦은 변경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자동화, 지속적 통합(CI)/지속적 배포(CD), 안정적인 아키텍처 등 기술적인 준비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기술적 기반 없이 애자일을 도입하려고 하면, 잦은 빌드 실패, 버그 증가, 배포 지연 등으로 인해 오히려 개발 속도가 느려지고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반복 주기와 피드백 적용 방식 🔗

애자일과 반복 개발의 핵심은 짧은 반복 주기(Iteration 또는 Sprint)와 그 과정에서 얻는 피드백을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있습니다.

반복 주기 (Iteration / Sprint) 🔗

피드백 수집 및 적용 🔗

피드백은 단순히 듣는 것을 넘어, 실제 제품 개선과 팀의 성장으로 이어질 때 그 가치가 있습니다.
빠르고 건설적인 피드백 문화를 만드는 것이 애자일 팀의 중요한 성공 요인입니다.

🚀

결론 🔗

오늘은 스크럼, XP, 칸반과 같은 대표적인 애자일 방법론들의 핵심을 살펴보고, 실제 팀과 기업에서 애자일 및 반복 개발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다양한 성공 및 실패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반복 주기와 피드백 적용 방식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종종 혼동되는
아이디어 도출과 요구사항 분석의 차이점
, 그리고 '내가 원하는 것'과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누겠습니다.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