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프로토콜 버전 번호
: IPv4(4) 또는 IPv6(6)와 같이 사용 중인 IP 버전을 나타낸다.
헤더 길이
: IP 헤더의 길이를 32비트 단위로 나타낸다.
서비스 유형 (Type of Service)
: 패킷의 우선순위와 서비스 품질(QoS)을 지정한다.
전체 데이터그램 길이
: IP 헤더와 데이터의 총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식별자, 플래그, 단편 오프셋
: IP 데이터그램이 단편화될 때 사용됨다. 식별자는 각 단편을 고유하게 식별하며, 플래그는 단편화 여부를 나타내고, 단편 오프셋은 각 단편의 위치를 나타낸다.
TTL (Time to Live)
: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최대 홉 수를 나타낸다. 각 라우터를 통과할 때마다 1씩 감소하며, 0이 되면 패킷은 폐기된다.
프로토콜
: 상위 계층 프로토콜(TCP, UDP 등)을 나타내며, IP 패킷의 페이로드를 처리할 프로토콜을 지정한다.
헤더 체크섬
: IP 헤더의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이다. 헤더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출발지 및 목적지 IP 주소
: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 IP 주소를 나타낸다.
옵션
: 필요한 경우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필드임다. 예를 들어, 타임스탬프, 경로 기록, 방문할 라우터 목록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데이터
: IP 데이터그램의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며, 가변 길이로 되어 있음다. 일반적으로 TCP 또는 UDP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오버헤드
: IP 헤더(20바이트)와 TCP 헤더(20바이트)를 포함하여 총
40바이트
의 오버헤드가 발생함다. 응용 계층의 오버헤드는 이 외에도 추가된다.
TTL
: 여러 목적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그램이 영원히 순환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프로토콜
: 네트워크 계층을 전송 계층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링크는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라는 최대 전송 단위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