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X 가 임의 변수이고 f:R→Rf: \mathbb{R} \to \mathbb{R}f:R→R 이면 Y=f(X)Y = f(X)Y=f(X) 도 확률 질량 함수(PMF)를 가지는 임의 변수이다.
임의 변수 XXX의 기대값은 E[X]=∑x∈Rx⋅P(X=x)E[X] = \sum_{x \in \mathbb{R}} x \cdot P(X = x)E[X]=∑x∈Rx⋅P(X=x)로 정의된다. 즉, XXX의 가능한 모든 값에 대해 확률 가중 평균이다.
임의 변수 XXX와 YYY에 대해 E[X+Y]=E[X]+E[Y]E[X + Y] = E[X] + E[Y]E[X+Y]=E[X]+E[Y]이다.
임의 변수 XXX가 PMF pX(x)\;p_X(x)pX(x)를 가진 임의 변수일 때 함수 Y=g(X)Y = g(X)Y=g(X)에 대해 E[Y]=E[g(X)]=∑x∈Rg(x)⋅P(X=x)E[Y] = E[g(X)] = \sum_{x \in \mathbb{R}} g(x) \cdot P(X = x)E[Y]=E[g(X)]=∑x∈Rg(x)⋅P(X=x)이다.
임의 변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벗어나는지 측정 var(X)=E[X2]−E[X]2=E[(X−E[X])2]=∑x∈R(x−E[X])2⋅pX(x)var(X) = E[X^2] - E[X]^2 = E[(X - E[X])^2] = \sum_{x \in \mathbb{R}} (x - E[X])^2 \cdot p_X(x)var(X)=E[X2]−E[X]2=E[(X−E[X])2]=∑x∈R(x−E[X])2⋅pX(x)
임의 변수 XXX에 대한 선형 함수 Y=aX+bY = aX + bY=aX+b의 기대값과 분산은 다음과 같다: E[Y]=aE[X]+bE[Y] = aE[X] + bE[Y]=aE[X]+b var(Y)=a2var(X)var(Y) = a^2var(X)var(Y)=a2var(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