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leeBlog
sitemap
aboutMe

posting thumbnail
임의 변수의 함수
Function of Random Variables

📅

🚀

임의 변수의 함수 (Function of a Random Variable) 🔗

X 가 임의 변수이고 f:RRf: \mathbb{R} \to \mathbb{R} 이면 Y=f(X)Y = f(X) 도 확률 질량 함수(PMF)를 가지는 임의 변수이다.
P(Y=k)=P(f(X)=k)=oΩ such that f(X(o))=kP(o)P(Y = k) = P(f(X) = k) = \sum_{o \in \Omega \text{ such that } f(X(o))=k} P(o)

예제 (임의 변수의 함수) 🔗

➡️

문제 🔗

Y=XY = |X|라고 하자. 이 경우 PMF pYp_Y에 대한 앞선 공식을 적용해 보자. X의 확률 pX(x)p_X(x)는 다음과 같다:
➡️

해결 🔗

가능한 YY의 값은 0, 1, 2, 3, 4이다.

🚀

기대값 (Expected Value) 🔗

임의 변수 XX의 기대값은 E[X]=xRxP(X=x)E[X] = \sum_{x \in \mathbb{R}} x \cdot P(X = x)로 정의된다.
즉, XX의 가능한 모든 값에 대해
확률 가중 평균
이다.
E[X]E[X]XX의 기대값(expectation) 또는 평균(mean)이라고도 한다.
➡️

참고 (기대값) 🔗

E[Binomial R.V(이항 분포 임의 변수)]=np=(number of trials)(probability of success)E[\text{Binomial R.V(이항 분포 임의 변수)}] = n \cdot p = \text{(number of trials)} \cdot \text{(probability of success)}

예제 1 (기대값) 🔗

➡️

문제 🔗

두 독립적인 동전 던지기를 고려하자.
각각의 동전 던지기에서 앞면이 나올 확률은 3/4이다.
X를 얻은 앞면의 수로 나타내는데, 이는 n = 2, p = 3/4의 매개변수를 가진 이항 분포 임의 변수이다.
X의 기대값은 무엇인가?
➡️

해결 🔗

E[X]=0(1/4)2+12(1/4)(3/4)+2(3/4)2=2416=32E[X] = 0 \cdot (1/4)^2 + 1 \cdot 2 \cdot (1/4) \cdot (3/4) + 2 \cdot (3/4)^2 = \frac{24}{16} = \frac{3}{2}

예제 2 (기대값) 🔗

➡️

문제 🔗

X가 {1, 2, 6}에 해당하고 각각의 확률이 다음과 같다고 하자:
X의 기대값은 무엇인가?
➡️

해결 🔗

E[X]=113+212+616=13+1+1=73=2.3E[X] = 1 \cdot \frac{1}{3} + 2 \cdot \frac{1}{2} + 6 \cdot \frac{1}{6} = \frac{1}{3} + 1 + 1 = \frac{7}{3} = 2.\overline{3}

🚀

기대값의 선형성 (Linearity of Expectation) 🔗

임의 변수 XXYY에 대해 E[X+Y]=E[X]+E[Y]E[X + Y] = E[X] + E[Y]이다.

예제 (기대값의 선형성) 🔗

➡️

문제 🔗

12개의 공정한 6면 주사위를 던진다. X를 "1"의 수로, Y를 "6"의 수로 하자. X + Y의 기대값은 얼마인가?
➡️

해결 🔗

E[X]=E[Y]=1216=2E[X] = E[Y] = 12 \cdot \frac{1}{6} = 2이므로 E[X+Y]=E[X]+E[Y]=2+2=4E[X + Y] = E[X] + E[Y] = 2 + 2 = 4

🚀

임의 변수 함수에 대한 기대값 규칙 (Expectation Rule for Functions of Random Variables) 🔗

임의 변수 XX가 PMF   pX(x)\;p_X(x)를 가진 임의 변수일 때 함수 Y=g(X)Y = g(X)에 대해
E[Y]=E[g(X)]=xRg(x)P(X=x)E[Y] = E[g(X)] = \sum_{x \in \mathbb{R}} g(x) \cdot P(X = x)이다.
E[X]=xRxpX(x)E[X] = \sum_{x \in \mathbb{R}} x \cdot p_X(x)
E[g(X)]=xRg(x)pX(x)\Rightarrow E[g(X)] = \sum_{x \in \mathbb{R}} g(x) \cdot p_X(x) \rightarrow
기대값 규칙
(Expectation Rule)

🚀

분산 (Variance) 🔗

임의 변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벗어나는지 측정
var(X)=E[X2]E[X]2=E[(XE[X])2]=xR(xE[X])2pX(x)var(X) = E[X^2] - E[X]^2 = E[(X - E[X])^2] = \sum_{x \in \mathbb{R}} (x - E[X])^2 \cdot p_X(x)
표준편차
는 분산의 양의 제곱근이다.
σx=std(X)=var(X)\sigma_x = std(X) = \sqrt{var(X)}

증명 (분산) 🔗

E[X]=μE[X] = \mu(상수)
E[μ]=μE[\mu] = \mu, E[μX]=μE[X]=μ2E[\mu \cdot X] = \mu \cdot E[X] = \mu^2
E[(XE[X])2]=E[X22XE[X]+E[X]2]E[(X - E[X])^2] = E[X^2 - 2 \cdot X \cdot E[X] + E[X]^2]
=E[X2]2μE[X]+μ2=E[X2]2μ2+μ2= E[X^2] - 2\mu \cdot E[X] + \mu^2 = E[X^2] - 2\mu^2 + \mu^2
=E[X2]μ2=E[X2]E[X]2= E[X^2] - \mu^2 = E[X^2] - E[X]^2

예제 1 (분산) 🔗

➡️

문제 🔗

임의 변수 X를 고려하자. X는 다음과 같은 확률 질량 함수(PMF)를 가진다:
X의 분산은 무엇인가?
➡️

해결 🔗

X의 기대값 E[X]는
E[X]=019+119+219+319+419+(1)19+(2)19+(3)19+(4)19=0E[X] = 0 \cdot \frac{1}{9} + 1 \cdot \frac{1}{9} + 2 \cdot \frac{1}{9} + 3 \cdot \frac{1}{9} + 4 \cdot \frac{1}{9} + (-1) \cdot \frac{1}{9} + (-2) \cdot \frac{1}{9} + (-3) \cdot \frac{1}{9} + (-4) \cdot \frac{1}{9} = 0
우리는 var(x)=E[(XE[X])2]var(x) = E[(X-E[X])^2]를 계산해야 한다.
Z=(XE[X])2=X2Z = (X-E[X])^2 = X^2 라고 하자.
var(x)=E[(XE[X])2]=E[X2]=E[Z]=ZpZ(Z)var(x) = E[(X-E[X])^2] = E[X^2] = E[Z] = \sum{Z \cdot p_Z(Z)}


X의 가능한 값: -4, -3, -2, -1, 0, 1, 2, 3, 4
Z의 가능한 값: 0, 1, 4, 9, 16
따라서 var(X)=E[X2]E[X]2=129+429+929+1629=29+89+189+329=609=203var(X) = E[X^2] - E[X]^2 = 1 \cdot \frac{2}{9} + 4 \cdot \frac{2}{9} + 9 \cdot \frac{2}{9} + 16 \cdot \frac{2}{9} = \frac{2}{9} + \frac{8}{9} + \frac{18}{9} + \frac{32}{9} = \frac{60}{9} = \frac{20}{3}

예제 2 (분산) 🔗

➡️

문제 🔗

임의 변수 X가 {1, 2, 6}의 값을 가지고, 각 값의 확률이 P(X=1)=13P(X = 1) = \frac{1}{3}, P(X=2)=13P(X = 2) = \frac{1}{3}, P(X=6)=13P(X = 6) = \frac{1}{3}라고 하자.
X의 분산은 무엇인가?
➡️

해결 🔗

E[X]=113+213+613=13+23+2=93=3E[X] = 1 \cdot \frac{1}{3} + 2 \cdot \frac{1}{3} + 6 \cdot \frac{1}{3} = \frac{1}{3} + \frac{2}{3} + 2 = \frac{9}{3} = 3
var(x)=E[(XE[X])2]=E[(X3)2]=413+113+913=43+13+3=143=4.6var(x) = E[(X-E[X])^2] = E[(X-3)^2] = 4 \cdot \frac{1}{3} + 1 \cdot \frac{1}{3} + 9 \cdot \frac{1}{3} = \frac{4}{3} + \frac{1}{3} + 3 = \frac{14}{3} = 4.\overline{6}

🚀

선형 함수의 임의 변수에 대한 기대값과 분산 (Expectation and Variance of Linear Functions of Random Variables) 🔗

임의 변수 XX에 대한 선형 함수 Y=aX+bY = aX + b의 기대값과 분산은 다음과 같다:
E[Y]=aE[X]+bE[Y] = aE[X] + b
var(Y)=a2var(X)var(Y) = a^2var(X)

예제 (임의 변수 함수에 대한 기대값과 분산) 🔗

➡️

문제 🔗

Y = g(X) = aX + b
  1. Y의 기대값은 얼마인가?
  2. Y의 분산은 얼마인가?
➡️

해결 🔗

  1. Y의 기대값
    E[Y]=E[aX+b]=E[g(x)]=g(x)pX(x)E[Y] = E[aX + b] = E[g(x)] = \sum g(x) \cdot p_X(x)
    =(ax+b)pX(x)=axpX(x)+bpX(x)=aE[X]+b= \sum (ax + b) \cdot p_X(x) = a \sum x \cdot p_X(x) + b \sum p_X(x) = aE[X] + b
  2. Y의 분산
    var(Y)=var(aX+b)=E[(aX+bE[aX+b])2]var(Y) = var(aX + b) = E[(aX + b - E[aX + b])^2]
    =E[(aX+baE[X]b)2]=E[(aXaE[X])2]=E[a2(XE[X])2]= E[(aX + b - aE[X] - b)^2] = E[(aX - aE[X])^2] = E[a^2(X - E[X])^2]
    =a2E[(XE[X])2]=a2var(X)= a^2E[(X - E[X])^2] = a^2var(X)

🚀

요약 (Summary) 🔗

임의 변수의 기대값
(Expectation):
E[X]=xRxpX(x)E[X] = \sum_{x \in \mathbb{R}} x \cdot p_X(x)
분산
(Variance):
var(X)=E[X2]E[X]2=E[(XE[X])2]=xR(xE[X])2pX(x)var(X) = E[X^2] - E[X]^2 = E[(X - E[X])^2] = \sum_{x \in \mathbb{R}} (x - E[X])^2 \cdot p_X(x)
임의 변수 함수에 대한 기대값 규칙
(Expectation Rule for Functions of Random Variables):
E[g(X)]=xRg(x)pX(x)E[g(X)] = \sum_{x \in \mathbb{R}} g(x) \cdot p_X(x)
선형 함수의 임의 변수에 대한 기대값과 분산
(Expectation and Variance of Linear Functions of Random Variables):
E[Y]=aE[X]+bE[Y] = aE[X] + b, var(Y)=a2var(X)var(Y) = a^2var(X)

🚀

추가 문제 🔗

문제 1 🔗

➡️

문제 🔗

XX가 0에서 9까지의 값을 가지며 각각의 값이 동일한 확률 1/101/10로 선택되는 확률 변수라고 하자.
(
a
) 확률 변수 Y=Xmod(3)Y = X \mod(3)의 확률 질량 함수(PMF)를 구하시오.
(
b
) 확률 변수 Z=5mod(X+1)Z = 5 \mod(X + 1)의 확률 질량 함수(PMF)를 구하시오.
➡️

해결 🔗

(
a
) 확률 변수 Y=Xmod(3)Y = X \mod(3)의 확률 질량 함수(PMF)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YY의 확률 질량 함수(PMF)는 다음과 같다:
(
b
) 확률 변수 Z=5mod(X+1)Z = 5 \mod(X + 1)의 확률 질량 함수(PMF)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ZZ의 확률 질량 함수(PMF)는 다음과 같다:

문제 2 🔗

➡️

문제 🔗

확률 질량 함수(PMF) pX(x)p_X(x)를 다음과 같이 갖는 확률 변수 XX를 고려하시오.
pX(x)={x2aif x=3,2,1,0,1,2,30otherwise p_X(x) =\begin{cases} \frac{x^2}{a} & \text{if } x = -3, -2, -1, 0, 1, 2, 3 \\ 0 & \text{otherwise}\end{cases}
(a) aaE[X]E[X]를 구하시오.
(b) 확률 변수 z=(xE[X])2z = (x - E[X])^2의 확률 질량 함수(PMF)를 구하시오.
(c) (b)를 이용하여 XX의 분산을 계산하시오.
(d) 기대값 규칙 공식을 이용하여 XX의 분산을 계산하시오.
Var(X)=x(xE[X])2pX(x)Var(X) = \sum_x (x - E[X])^2 p_X(x)
➡️

해결 🔗

(
a
)
  1. aaE[X]E[X] 구하기
    x=33x2a=1\sum_{x=-3}^{3} \frac{x^2}{a} = 1
    (3)2a+(2)2a+(1)2a+02a+12a+22a+32a=1\frac{(-3)^2}{a} + \frac{(-2)^2}{a} + \frac{(-1)^2}{a} + \frac{0^2}{a} + \frac{1^2}{a} + \frac{2^2}{a} + \frac{3^2}{a} = 1
    9a+4a+1a+0+1a+4a+9a=1\frac{9}{a} + \frac{4}{a} + \frac{1}{a} + 0 + \frac{1}{a} + \frac{4}{a} + \frac{9}{a} = 1
    28a=1\frac{28}{a} = 1
    a=28a = 28
  2. E[X]E[X] 구하기
    E[X]=x=33xpX(x)E[X] = \sum_{x=-3}^{3} x \cdot p_X(x)
    pX(x)=x228p_X(x) = \frac{x^2}{28}
    E[X]=x=33xx228E[X] = \sum_{x=-3}^{3} x \cdot \frac{x^2}{28}
    E[X]=128[(3)3+(2)3+(1)3+0+13+23+33]E[X] = \frac{1}{28} [(-3)^3 + (-2)^3 + (-1)^3 + 0 + 1^3 + 2^3 + 3^3]
    E[X]=128[2781+0+1+8+27]E[X] = \frac{1}{28} [-27 - 8 - 1 + 0 + 1 + 8 + 27]
    E[X]=128[0]=0E[X] = \frac{1}{28} [0] = 0
(
b
) 확률 변수 z=(xE[X])2z = (x - E[X])^2의 확률 질량 함수(PMF) 구하기
  1. z=(x0)2=x2z = (x - 0)^2 = x^2
  2. 가능한 값:
    • x2=0,1,4,9x^2 = 0, 1, 4, 9
  3. 각 값의 확률:
    • P(z=0)=P(x=0)=0228=0P(z=0) = P(x=0) = \frac{0^2}{28} = 0
    • P(z=1)=P(x=1 또는 x=1)=2128=228=114P(z=1) = P(x=1 \text{ 또는 } x=-1) = 2 \cdot \frac{1}{28} = \frac{2}{28} = \frac{1}{14}
    • P(z=4)=P(x=2 또는 x=2)=2428=828=27P(z=4) = P(x=2 \text{ 또는 } x=-2) = 2 \cdot \frac{4}{28} = \frac{8}{28} = \frac{2}{7}
    • P(z=9)=P(x=3 또는 x=3)=2928=1828=914P(z=9) = P(x=3 \text{ 또는 } x=-3) = 2 \cdot \frac{9}{28} = \frac{18}{28} = \frac{9}{14}
(
c
) (b)를 이용한 XX의 분산 계산
(
d
) 기대값 규칙 공식을 이용한 분산 계산
따라서, (c)와 (d)에서 계산한 XX의 분산은 동일하게 7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