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leeBlog
sitemap
aboutMe

posting thumbnail
확률 변수의 독립성
Independence of random variables

📅

🚀

확률 변수의 독립 (Independence of Random Variables) 🔗

두 확률 변수 XXYY가 서로 독립일 때,
pX,Y(x,y)=pX(x)pY(y)      x,yp_{X,Y}(x, y) = p_X(x) \cdot p_Y(y)\;\;\; \forall x, y
독립은 다음과 같은 조건과 동등하다.
pX,Y(xy)=pX(x)      y with pY(y)>0 and xp_{X, Y}(x|y) = p_X(x)\;\;\; \forall y \text{ with } p_Y(y) > 0 \text{ and } \forall x
conditional PMF = marginal PMF (XXYY가 서로 독립일 때)

예제 (확률 변수의 독립) 🔗

➡️

문제 🔗

12개의 공정한 6면체 주사위를 던진다.
XX는 '1'이 나온 개수이고 YY는 '6'이 나온 개수라고 하자.
XXYY는 독립인가?
➡️

해결 🔗

P(X=12,Y=12)=0P(X=12)P(Y=12)P(X=12, Y=12) = 0 \neq P(X=12) \cdot P(Y=12) 임을 증명
X,YX, Y: binomial random variable (n = 12, p = 1/6)
P(X=k)=(12k)(16)k(56)12kP(X = k) = \binom{12}{k} \left(\frac{1}{6}\right)^k \left(\frac{5}{6}\right)^{12-k}
P(X=12)=(16)12P(X = 12) = \left(\frac{1}{6}\right)^{12}
P(Y=12)=(16)12P(Y = 12) = \left(\frac{1}{6}\right)^{12}
답: XXYY는 독립이 아니다.

🚀

독립 변수의 기대값 (Expectation of Independent Random Variables) 🔗

XXYY가 서로 독립이면, E[XY]=E[X]E[Y]E[XY] = E[X] \cdot E[Y]이다.

증명 🔗

E[XY]=xyxypX,Y(x,y)=xyxypX(x)pY(y)=xxpX(x)yypY(y)=E[X]E[Y]E[XY] = \sum_{x}\sum_{y}xy\cdot p_{X,Y}(x, y) \\ = \sum_{x}\sum_{y}xy\cdot p_X(x)\cdot p_Y(y) \\ = \sum_{x}xp_X(x)\sum_{y}yp_Y(y) \\ = E[X] \cdot E[Y]

예제 (독립 변수의 기대값) 🔗

➡️

문제 🔗

XXYY가 다음과 같은 결합 확률 질량 함수(PMF)를 가진다고 가정하자:
XX \ YY-101
0012\frac{1}{2}0
114\frac{1}{4}014\frac{1}{4}
E[X]E[X], E[Y]E[Y], E[XY]E[XY]를 구하라.
➡️

해결 🔗

주변 분포(marginal distribution)를 구하고, 독립인지 확인한다.
E[X]=xPX(x)=012+112=12E[X] = \sum xP_X(x) = 0 \cdot \frac{1}{2} + 1 \cdot \frac{1}{2} = \frac{1}{2}
E[Y]=yPY(y)=114+012+114=0E[Y] = \sum yP_Y(y) = -1 \cdot \frac{1}{4} + 0 \cdot \frac{1}{2} + 1 \cdot \frac{1}{4} = 0
E[XY]=E[X]E[Y]=120=0E[XY] = E[X] \cdot E[Y] = \frac{1}{2} \cdot 0 = 0
: E[X]=12E[X] = \frac{1}{2}, E[Y]=0E[Y] = 0, E[XY]=0E[XY] = 0
X,YX, Y는 독립이다.

🚀

독립 변수의 분산 (Variance of Independent Random Variables) 🔗

독립인 두 변수 X,YX, YZ=X+YZ = X + Y를 만족할 때, Var(Z)=Var(X)+Var(Y)Var(Z) = Var(X) + Var(Y)이다.

증명 🔗

Var(Z)=E[(X+YE[X+Y])2]=E[(X+YE[X]E[Y])2]=E[((XE[X])+(YE[Y]))2]=E[(XE[X])2]+2E[(XE[X])(YE[Y])]+E[(YE[Y])2]=Var(X)+0+Var(Y)Var(Z) = E[(X+Y-E[X+Y])^2]\\ = E[(X+Y-E[X]-E[Y])^2]\\ = E[((X-E[X]) + (Y-E[Y]))^2] \\ = E[(X-E[X])^2] + 2E[(X-E[X])(Y-E[Y])] + E[(Y-E[Y])^2] \\ = Var(X) + 0 + Var(Y)
(2E[(XE[X])(YE[Y])]=E[XYXE[Y]YE[X]+E[X]E[Y]]=E[XY]E[X]E[Y]E[Y]E[X]+E[X]E[Y]=02E[(X-E[X])(Y-E[Y])] = \\ E[XY - XE[Y] - YE[X] + E[X]E[Y]] = \\ E[XY] - E[X]E[Y] - E[Y]E[X] + E[X]E[Y] = 0)

예제 (독립 변수의 분산) 🔗

➡️

문제 🔗

XXYY가 독립이며 Var(X)=3\text{Var}(X) = 3이고 Var(Y)=5\text{Var}(Y) = 5라고 가정하자.
다음을 구하시오:
  1. Var(X+Y)\text{Var}(X + Y)
  2. Var(3X+4)\text{Var}(3X + 4)
  3. Var(X+X)\text{Var}(X + X)
  4. Var(X+3Y)\text{Var}(X + 3Y)
➡️

해결 🔗

  1. Var(X+Y)=Var(X)+Var(Y)=3+5=8\text{Var}(X + Y) = \text{Var}(X) + \text{Var}(Y) = 3 + 5 = 8
  2. Var(3X+4)=32Var(X)=93=27\text{Var}(3X + 4) = 3^2\text{Var}(X) = 9 \cdot 3 = 27
  3. Var(X+X)=22Var(X)=43=12\text{Var}(X + X) = 2^2\text{Var}(X) = 4 \cdot 3 = 12
  4. Var(X+3Y)=Var(X)+32Var(Y)=3+95=48\text{Var}(X + 3Y) = \text{Var}(X) + 3^2\text{Var}(Y) = 3 + 9 \cdot 5 = 48

🚀

요약 (Summary) 🔗

두 확률 변수 XXYY가 서로 독립이면, pX,Y(x,y)=pX(x)pY(y)p_{X,Y}(x, y) = p_X(x) \cdot p_Y(y)이다.
두 확률 변수 XXYY가 서로 독립이면, E[XY]=E[X]E[Y]E[XY] = E[X] \cdot E[Y]이다.
두 확률 변수 XXYY가 서로 독립이면, Var(X+Y)=Var(X)+Var(Y)Var(X + Y) = Var(X) + Var(Y)이다.

🚀

추가 문제 🔗

➡️

문제 🔗

XXYY가 독립적이며 동일하게 분포된 기하 확률 변수라고 가정하자.
여기서 매개변수는 pp이다.
다음을 증명하시오:
P(X=iX+Y=n)=1n1,i=1,,n1P(X = i \mid X + Y = n) = \frac{1}{n-1}, \quad i = 1, \ldots, n-1
➡️

해결 🔗

P(X=iX+Y=n)P(X = i \mid X + Y = n)nn번째 던짐에서 두 번째로 앞면이 나왔을 때, ii번째 던짐에서 첫 번째로 앞면이 나왔을 확률로 해석할 수 있다.
직관적으로 nn번째 던짐에서 두 번째로 앞면이 나온 경우, 첫 번째 앞면이 11에서 n1n-1사이의 어떤 던짐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동일하다.
이를 정확히 수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다음을 고려하자:
P(X=iX+Y=n)=P(X=i and X+Y=n)P(X+Y=n)=P(X=i)P(Y=ni)P(X+Y=n)P(X = i \mid X + Y = n) = \frac{P(X = i \text{ and } X + Y = n)}{P(X + Y = n)} = \frac{P(X = i)P(Y = n - i)}{P(X + Y = n)}
또한, P(X=i)=p(1p)i1P(X = i) = p(1-p)^{i-1} (i1i \geq 1)이고, P(Y=ni)=p(1p)ni1P(Y = n - i) = p(1-p)^{n-i-1} (ni1n - i \geq 1)이다.
따라서, P(X=i)P(Y=ni)=p2(1p)n2P(X = i)P(Y = n - i) = p^2(1 - p)^{n-2} (i=1,,n1i = 1, \ldots, n-1)이고, 그 외의 경우는 0이다.
따라서, P(X=iX+Y=n)=P(X=jX+Y=n)P(X = i \mid X + Y = n) = P(X = j \mid X + Y = n)iijj11에서 n1n-1사이의 어떤 값이든 동일하다.
P(X=iX+Y=n)=1n1,i=1,,n1P(X = i \mid X + Y = n) = \frac{1}{n-1}, \quad i = 1, \ldots, n-1